‘花기애애’ 귀신의 집으로

‘花기애애’ 귀신의 집으로

윤창수 기자
입력 2007-04-14 00:00
업데이트 2007-04-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귀신의 집에는 꽃이 만발했다.

지난 10일 서울 제일화재 세실극장에서 개막한 연극 ‘귀신의 집으로 오세요’는 배우 유지태가 만든 극단 유무비의 두번째 창작연극으로 화제를 모았다.

연극의 원안 아이디어도 냈던 유지태는 연극을 이끌어가는 중심 인물이다. 관객에게 직접 대화를 건네고, 이야기도 들려주며, 극에 대한 설명도 한다. 유지태가 연기하는 인물 인우도 실은 지상에 떠돌아다니는 귀신이다. 귀신의 집이라고 해서 흉가를 떠올렸다면 무대에 만발한 꽃에 의외란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초반부는 꽃과 자전거, 그네로 장식된 무대에 걸맞게 동화적인 분위기가 강했다. 연극은 중반이 넘어가면서 급반전된다.

퇴마사와 평론가, 프로듀서가 흉가를 찍기 위해 귀신의 집을 찾고, 귀신은 퇴마사의 몸으로 빙의한다. 흔히 귀신이 들렸다고 말하는 현상을 신들린 듯 연기해 내는 배우들의 모습에 일부 관객들은 무섭다며 잠깐 자리를 뜨기도 했다. 하지만 이 연극이 하고 싶은 이야기는 다름 아닌 어머니이다. 얼굴이 일그러지는 나병이 든 딸아이를 숨긴 채 남의 집 씨받이로 들어온 어머니의 한많은 모정이다. 지태는 ‘귀신의 집으로 오세요’ 한회 공연 전좌석을 경제적, 문화적으로 소외된 청소년들을 위해 내놓았다.29일 공연에 아름다운 재단 장학금 지원 청소년 및 소외계층 청소년 160명과 시민 40명을 초대한 것. 관객들은 어머니를 생각하며 연극을 만들었다는 유지태의 따뜻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 어머니가 비록 귀신이더라도 어머니는 어머니이기에 따뜻하고 자애롭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07-04-14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