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 FTA가 가져와야 할 것들/ 이도운 워싱턴 특파원

[특파원 칼럼] FTA가 가져와야 할 것들/ 이도운 워싱턴 특파원

입력 2007-04-07 00:00
업데이트 2007-04-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의 수도 워싱턴에 ‘블루스 앨리’라는 공연장이 있다. 서울의 신촌과 청담동을 합쳐 놓은 것 같은 조지타운 거리의 뒷골목에 숨은 듯이 자리잡은 블루스 앨리는 워싱턴에서 최고의 재즈 클럽으로 꼽힌다.

3월 마지막 주말에 이곳에서 재즈 기타리스트 얼 클루의 연주회가 열렸다. 평소에 좋아했던 그의 연주를 직접 들어보러 금요일 밤 10시부터 시작하는 공연을 보러갔다. 오랜만에 북한 핵 문제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 시달렸던 심신도 달래보고 싶었다.

18세기에 지어진 창고를 개조해 만든 블루스 앨리는 기대했던 것보다 소박한 공연장이었다.40평쯤 될 것 같은 공간에 무대와 테이블, 그리고 바와 주방이 밀집돼 있었다. 서울의 클럽 가운데는 삼청동 ‘재즈 스토리’의 분위기가 블루스 앨리와 비슷하다고 느껴졌다. 재즈 스토리는 일부러 고물상을 뒤져 찾아낸 골동품들로 클럽을 장식했지만, 블루스 앨리는 1965년부터 사용해온 테이블과 의자로 가득한 ‘낡은’ 공간이었다. 그래서 오히려 편한 느낌도 줬다. 음향도, 조명도 아주 특별하다고 느껴지지는 않았지만 얼 클루가 연주하는 어쿠스틱 기타의 선율을 관객들에게 전해주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래미상 수상자인 얼 클루의 연주는 기대했던 만큼 훌륭했다. 음반에 담을 수 없었던 재즈의 자유로움이 라이브 연주를 통해 마음껏 발휘되는 것 같았다. 얼 클루는 공연에서 관객들에게 ‘과잉 서비스’를 하지는 않았다.1시간 45분 동안 진행된 공연 도중에 함께 연주한 밴드의 멤버를 소개하고, 연주곡 가운데 ‘겨울비’라는 곡을 특별히 소개한 것이 연주가 아닌 서비스의 전부였다. 그 흔한 앙코르도 없었다.

이날 특별히 인상 깊었던 것은 관객들의 반응이었다. 공연장을 꽉 채운 관객의 수를 세어 보니 110명쯤 됐다. 대부분의 관객은 얼 클루의 음악을 잘아는 마니아와 팬들이었던 것 같았다. 바로 앞 테이블에 앉은 남자 대학생은 새로운 곡이 시작될 때마다 여자 친구에게 제목과 곡의 특징을 작은 목소리로 설명해 주는 모습도 보였다.

관객들은 연주가 끝나거나 멋진 기교가 나올 때마다 아낌없이 박수를 보냈지만 역시 ‘과잉 반응’은 보이지 않았다. 이따금씩 들리는 휘파람 소리가 특별하게 느껴질 정도였다. 예전에 서울에서 유사한 공연을 보러갈 때마다 연주자들에게 박수와 환호를 보내면서 느꼈던 어떤 ‘의무감’ 같은 것이 공연에는 없었다.

공연에 지불한 비용은 약 60달러. 입장료가 45달러, 맥주 한 병과 당근 케이크를 먹는 데 16달러가 추가로 들었다. 우리돈으로 약 6만원 정도다. 역시 그래미를 수상한 재즈 기타리스트 조지 벤슨의 공연을 몇년 전 서울에서 볼 때 10만원 정도를 냈던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싼 편이다. 또 당시 공연은 무대와 객석이 완전히 분리된 예술의 전당 콘서트 홀에서 열렸다. 조지 벤슨의 연주도 무척 훌륭했지만, 아무래도 블루스 앨리에서 느꼈던 연주자와 관객의 친밀감이나 일체감은 맛보기 어려웠다. 얼 클루의 공연을 보면서도 어쩔 수 없이 일과 관련된 연상작용은 계속됐다. 한·미 FTA에 따라 앞으로 몇년 사이에 미국의 더 많은 상품과 서비스가 우리나라로 들어올 것이다.

얼 클루의 연주가 담긴 CD도 지금보다 더 싼 가격에 수입되고 유명한 뮤지션의 한국 공연도 훨씬 많아질 것이다.

한편으로는 블루스 앨리와 같은 미국 클럽이 한국에 상륙해 홍대 앞과 청담동의 클럽들과 경쟁하는 것도 상상할 수 있겠다. 그러나 금요일 밤의 공연만 놓고 본다면 정작 한국으로 수입하고 싶은 것은 블루스 앨리도, 얼 클루도 아닌 공연의 분위기 자체였다. 기왕에 미국의 상품과 서비스가 수입된다면 껍데기뿐만 아니라 그 안에 담겨 있는, 우리가 배워볼 만한 진정한 ‘멋’과 ‘맛’도 함께 들어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도운 워싱턴 특파원 dawn@seoul.co.kr
2007-04-07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