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포스코 청암상’ 3개분야 시상식

제1회 ‘포스코 청암상’ 3개분야 시상식

최용규 기자
입력 2007-03-28 00:00
업데이트 2007-03-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1회 ‘포스코 청암상’ 수상자 3명이 선정됐다. 포스코청암재단(이사장 이구택 포스코 회장)은 27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포스코 청암상 시상식을 가졌다.

포스코 청암상은 포스코 창업 이념인 ‘창의, 인재 육성, 희생·봉사정신’을 널리 확산시켜 성숙된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포스코청암재단이 지난해 제정했다.‘청암’은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아호이다.

포스코 청암상 과학상에는 임지순(56)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교육상에는 충남 논산대건고교, 봉사상에는 와르다 하피즈(55·여) 인도네시아 도시빈민협의회 사무총장이 각각 선정됐다. 이 이사장은 시상식에서 수상자들에게 상패와 상금 2억원씩을 수여했다.

과학상과 교육상은 국내에 활동 기반을 둔 개인과 단체를 대상으로 시상한다. 하지만 봉사상은 아시아 각국과의 교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국내는 물론 아시아 전체로 수상 대상을 확대했다.

임 교수는 고체물리이론 전자구조계산 분야와 탄소나노튜브와 수소저장 물질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1998년 탄소나노튜브를 다발로 묶으면 반도체가 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2000년에는 트랜지스터 기능을 하는 탄소나노 소자를 처음으로 개발했다. 지난해에는 새로운 수소저장물질구조를 발견해 물리학계 최고 저널인 ‘피지컬 리뷰레터’에 발표함으로써 수소 에너지 상용화의 전기를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임 교수는 “과학자로서 당연한 일을 했는데 과분한 상을 받았다.”면서 “연구에 더욱 매진해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과학자가 되겠다.”고 말했다.

교육상을 받은 논산대건고교는 ‘전인교육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을 통해 정형화된 학생 지도에서 벗어나 체험과 실천위주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천했다. 논산대건고 강석준 교장은 “인성교육과 학력 신장이란 두 가지 목표를 조화롭게 실천해 공교육의 새로운 발전모델을 정착시키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봉사상을 받은 와르다 하피즈는 ‘빈자(貧者)의 어머니’로 불린다. 그녀는 2004년 인도네시아 지진 해일 피해지역인 아체지역에 상주하며 3500가구를 건설하는 등 복구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뜻 깊은 상을 받게 돼 기쁘다.”면서 “소외계층과 인류에 더 봉사하는 사람이 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 이사장은 “우리 사회의 귀감이 되는 훌륭한 분들에게 상을 드리게 돼 매우 기쁘다.”며 “올해 첫 수상자 배출을 계기로 포스코 청암상이 세계적 수준의 창조적 연구활동을 장려하고, 인류의 풍요로운 미래 건설에 기여할 수 있는 권위 있는 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상식에는 박태준 명예회장, 강영훈 전 국무총리,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이상수 노동부장관, 이장무 서울대총장, 노진환 서울신문 사장, 송필호 중앙일보 대표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최용규기자 ykchoi@seoul.co.kr
2007-03-28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