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림 숲과 따뜻한 밥상으로의 초대

상림 숲과 따뜻한 밥상으로의 초대

입력 2007-02-14 00:00
업데이트 2007-02-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일근 시인의 따뜻한 밥상 30 · 끝

글·사진 정일근 시인

지리산 자락. 경남 함양군 함양읍 대덕동에 제가 좋아하는 상림(上林)이란 숲이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154호. 숲의 면적은 6만 평이 넘습니다.

이 숲은 자연적으로 조성된 것이 아니라 신라시대 때 사람의 힘으로 만들어진 숲입니다. 통일신라 진성여왕(재위 887 897) 때 고운 최치원이 함양읍의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숲을 만들었다고 전해집니다.

이미지 확대
상림 연밭돌다리
상림 연밭돌다리
예전에는 숲이 지금보다 넓어 대관림(大館林)이라고 불렀으나 홍수로 이 숲의 가운데 부분이 사라짐에 따라 상림(上林)과 하림(下林)으로 나누어지게 되었습니다. 아쉽게도 현재 하림은 훼손되어 흔적만 남아 있고 상림만이 예전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상림 숲을 이루고 있는 식물들로는 갈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와 개서어나무류가 주로 있습니다. 숲에 가면 나무들이 모두 이름표를 달고 있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1993년 조사에서 116종류의 식물이 조사되었으며, 현재 2만여 그루의 크고, 오래된 나무가 자라고 있다고 합니다.

함양 상림은 사람이 직접 조성한 숲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적 가치를 가진 숲입니다. 또한 몇 년 전부터 숲 인근에 연꽃밭을 만들어 더욱 아름다운 풍광을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제가 상림숲을 좋아하는 이유는 숲의 그 많은 나무들이 모두 활엽수라는 것입니다. 봄에는 모두 함께 잎을 피우고 가을이면 낙엽이 물들고 겨울이면 완벽하게 나목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언제 찾아가도 상림은 한 번도 같은 모습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상록수림의 숲은 별다른 변화가 없지만 상림 숲은 살아 숨 쉬는 변화가 순간순간 장엄하게 연출되는 숲입니다.

상림에는 또 맑은 물이 많습니다. 상림의 서쪽으로 지리산이 내려 보내주는 위천이 흐르고 숲 속에도 길고 긴 맑은 물길이 나 있습니다. 끊임없이 흐르는 물은 동적인 숲을 정적으로 살아 있게 합니다. 그리고 이제는 대단지 연밭까지 만들어져 숲과 물이 상생의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올 가을 상림에 다녀왔습니다. 상림의 낙엽은 ‘낙엽귀근’(落葉歸根)을 그대로 실천합니다. 모두 뿌리로 돌아가는 낙엽들이 몇 년을 두고 그대로 쌓여 숲 속에는 ‘낙엽바다’가 출렁이고 있었습니다.

술보다도 좋은 오랜 친구들과 함께 상림 숲을 걸으며 즐거웠습니다. 맨발공원에서 맨발로 걸어보고 숲 속에 만들어진 나무벤치에 앉아 아무 이야기를 나누지 않아도 우린 같은 것을 함께 느끼고 있었습니다.

어느 해 가을인가는 지인들과 와인 몇 병을 들고 상림을 찾은 적이 있습니다. 그 기분도 참 좋았습니다. 낙엽바다에 몸을 던지고 천천히 와인에 취해 가는 동안 술에 약한 제가 취하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낙엽이 붉게 물드는 속도를 느꼈기 때문입니다. 만추에 상림에 가신다면 당신도 들어갈 때의 단풍과 나올 때의 단풍의 색깔이 다르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상림 주변의 정겨운 시골마을도 좋은 구경거리입니다. 그 입구에 물레방아가 있고 아직도 빨래터가 있는 마을입니다. 함양은 물레방아의 고장입니다. 실학자 박지원이 1792년 함양 안의현감으로 있을 때 청나라 사신으로 갔을 때 보고 온 물레방아를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그때부터 물레방아가 생겨났고 함양은 물레방아의 원조 고장으로 대접받고 있습니다. 함양군은 가을이면 상림 주변에서 물레방아 축제를 열고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천련자 열매
천련자 열매


상림의 마을을 둘러보다 오랜만에 천련자 나무를 보았습니다. ‘여자’라고도 하는 나무입니다. 노란 황금색의 천련자 열매도 달려 있었습니다. 유자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신기해하는 일행들에게 주인아주머니가 열매를 몇 개 따서 선물해주지 않습니까. 그래서 우리는 상림에서 여자를 선물 받는 행운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상림을 둘러보는 데 몇 시간은 족히 걸립니다. 그래서 숲을 빠져나오면 누구나 출출해집니다. 숲과 나무가 차려주는 참 좋은 밥상을 선물 받았는데도 뭘 먹을까 고민하는 것은 먹어야 사는 사람이니까 할 수밖에 없는 고민입니다.

숲을 나와 국도의 오른쪽 마천 방향 달려가다 보니 맞배지붕의 기와집이 맛있게 지어진 밥집을 만날 것입니다. 함양군에서 장수식당 1호점으로 지정한 밥집인데 주메뉴는 ‘콩잎곰국’과 ‘죽염청국장’입니다.

이미지 확대
콩잎 곰국
콩잎 곰국


이미지 확대
죽염 청국장
죽염 청국장


그 밥집은 죽염을 만들었던 인산 선생의 집안과 인연이 있어 요리와 밑반찬을 죽염으로만 간을 하는데 죽염청국장은 청국장에 죽염의 맛을 더했는데 짜지도 않고 그냥 먹기도 편한 별미입니다.

콩잎곰국은 저도 음식이 나올 때까지 그림이 그려지지 않았습니다. 기대를 하고 기다렸는데 사골을 고와서 어린 콩잎들을 따서 말렸다가 함께 넣어 끓인 곰국이 나왔습니다. 역시 죽염으로 간을 해서 먹는데 그 맛이 얼마나 담백한지! 제가 먹어 본 곰국 중에서 가장 담백한 맛이었습니다.

그건 상림 숲을 다녀온 사람에게 안성맞춤인 건강한 맛이었습니다. 숲이 뿜어주는 그 깊은 산소 같은 맛이어서 당신도 오랜 만에 입맛을 되찾을 것입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최고의 밥상은 상림 숲에 있습니다. 당신이 때로 삶에 지칠 때 상림 숲으로 오셔서 숲이 차려주는 성찬을 밥상으로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이미지 확대
 

 

월간 <삶과꿈> 2006.12 구독문의:02-319-3791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