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반도 비핵화 큰 걸음 내딛길

[사설] 한반도 비핵화 큰 걸음 내딛길

입력 2007-02-14 00:00
업데이트 2007-02-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반도 비핵화의 첫 관문이 열렸다. 어제 베이징에서 이룬 북핵 6자회담 합의는 한반도를 뒤덮은 핵의 먹구름을 뚫고 나온 한줄기 서광이라 하겠다.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으로 나아갈 발판이기도 하다.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14년, 그리고 9·19공동성명 합의 1년5개월 만에 북핵 해결의 실질적 전기가 마련된 셈이다. 북·미간 가파른 대치 속에서도 평화적 해결 노력을 포기하지 않은 한국과 중국의 외교 성과이자, 전향적 자세로 직접 대화에 나선 북한과 미국의 결단이 일궈낸 결실이다.

향후 두 달 안에 북한이 영변 원자로 등 핵 관련시설을 폐쇄(shutdown)한 뒤 불능화(disabling) 단계까지 이행하면 나머지 5개 참가국이 100만t 상당의 에너지를 북에 제공키로 한 합의는 서로에게 득을 안겨주는 생산적 결과물로 평가된다. 북핵 해결의 단계적 시한을 정하고 5개 참가국의 지원분담 원칙을 명시한 것은 제네바 합의나 9·19성명보다 진일보한 성과라 할 것이다. 물론 이번 합의로 북핵 문제가 일소될 수는 없다. 어디까지나 북핵 해결 초기이행조치에 대한 합의일 뿐으로, 핵무기를 폐기하기까지의 험난한 여정은 그대로 남겨 놓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초석을 놓지 않고는 한반도 비핵화의 대장정에 한발짝도 나설 수 없을 것이다. 북·미 관계 정상화나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도 기대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베를린 접촉에서 북·미가 정상회담 개최를 목표로 올해 안에 고위급 인사 방문을 추진키로 잠정 합의했다는 소식은 고무적이다. 북·미가 북핵 문제 너머로 동북아 평화체제의 큰 틀을 구상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북핵 전망을 한층 밝혀준다고 하겠다.

균형과 안정성을 확보한 북핵 해법임은 분명하나 문제는 실천이다. 합의 이행과정에서 핵 사찰 범위나 금융제재를 놓고 크고 작은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북한의 진정성과 북·미간 신뢰가 중요하다. 북한은 핵 폐기 의지를 분명히 함으로써 당장의 경제지원을 넘어 항구적 평화체제를 얻도록 해야 한다. 미국 또한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해 북한을 자극하는 그 어떤 행동도 자제해야 할 것이다.

2007-02-14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