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畵 명칭에 ‘탱’자 안쓴다

佛畵 명칭에 ‘탱’자 안쓴다

문화전문 기자
입력 2007-01-11 00:00
업데이트 2007-01-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탱화(幀畵)는 불화(佛畵)만큼이나 친숙한 표현이다.

그럼에도 국립중앙박물관이 당분한 불화에 ‘탱’이나 ‘탱화’라는 명칭을 쓰지 않기로 결정해 그 배경에 눈길이 모아지고 있다.

앞서 중앙박물관은 지난 8일 미술사 전시용어 개선작업 결과를 공개하면서 불화의 제목에 나오는 ‘탱’을 ‘도(圖)’로 고치기로 했다고 밝혔다. 보통 ‘정’으로 읽는 ‘幀’을 왜 ‘탱’으로 읽는지 명확한 근거를 찾아내지 못한 데다, 불화에서 ‘탱’이 같은 뜻으로만 쓰이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중앙박물관은 언제부터, 어떤 이유로 불화를 탱화로 부르게 됐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극히 미진하다고 설명한다. 탱화가 티베트의 탕카(Thang-ka)에서 유래했다는 추정도 있으나 현재로서는 아무런 근거가 없다는 것.

‘탱’의 의미도 모호하다. 일본 네즈(根津)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고려불화에서 보이는 ‘신화성미타일탱(新畵成彌陀一幀)’이라는 문구에서 ‘탱’은 ‘서화를 세는 단위’로 본다. 그러면 이 문구는 ‘아미타여래도 한폭을 새로 그렸다.’는 뜻이 된다. 그런가 하면 17세기 이후 조선시대 불화에는 장곡사 아미타후불탱에서처럼 ‘탱’이라는 글자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여기에 나오는 ‘탱’은 ‘거는 그림’이라는 의미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의미가 밝혀질 때까지 불화에서 ‘탱’을 쓰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사불회탱은 ‘설법하는 네 부처, 사불회도’로 ▲제석탱은 ‘제석과 여러신, 제석신중도’ ▲괘불탱은 ‘야외의식용 불화, 괘불도’ ▲산신탱은 ‘산신과 호랑이, 산신도’로 쓰기로 했다.

중앙박물관은 이번 미술사 용어 개선작업에서도 탱화의 명칭 문제를 명확히 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고 있다. 더불어 족자형, 액자형, 두루마리형의 불화와 변상화 등을 구별하는 명칭은 무엇으로 할 것인가 하는 부분에도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2007-01-11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