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전문계간지 ‘한국의 고고학’ 창간

첫 전문계간지 ‘한국의 고고학’ 창간

김종면 기자
입력 2006-09-16 00:00
업데이트 2006-09-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손으로 유적 발굴작업이 처음 이뤄진 것은 1946년 경주 호우총. 이어 1949년 경주 황오동 고분을 발굴하고 6·25전쟁 중인 1952년에도 경북 월성 금척리에서는 발굴작업이 진행됐다. 이렇게 출발한 우리의 고고발굴은 1970년대 개발시대를 거치며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 현재는 연간 1000여건의 발굴 성과를 거둘 만큼 성장했다. 이제 이쯤되면 우리도 제대로 된 고고학 잡지 하나쯤 가져야 하는 것 아닌가. 때마침 창간된 계간 ‘한국의 고고학’(주류성출판사 펴냄)은 그렇기에 더욱 반갑다. 조유전 한국토지박물관장이 대표 편집위원, 황규호 전 서울신문 문화부장이 상임 편집의원을 맡았으며 심봉근 동아대 부총장, 배기동 한양대 박물관장, 김태식 연합뉴스 문화부 기자 등이 편집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잡지를 발행하는 최병식 주류성출판사 대표는 “국내 고고학 발굴 성과는 물론 인접 학문과 연계된 논문, 해외 고고학 정보까지 아우르는 품격있는 고고학 전문지로 가꿔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번 창간호에는 ‘남한지역 발굴자료로 본 고조선계 문화판도’를 주제로 한 특집기사가 실렸다. 중국의 ‘동북공정’ 속에 포함돼 있는 고조선의 실체를 객관적으로 규명해 볼 수 있는 의미있는 글이다.1만원.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

2006-09-16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