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이라도…” 명품病 한국인

“짝퉁이라도…” 명품病 한국인

입력 2006-08-29 00:00
업데이트 2006-08-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에게 그럴싸하게 보일 수만 있다면 가짜라도 마다 않는 한국인의 습성은 이미 해외에서도 유명하다.‘짝퉁의 천국’으로 통하는 중국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가짜 명품 시장은 대단한 규모로 성장했다. 중국 광둥성 선전시 뤄후지구의 ‘비밀 짝퉁명품 창고’를 둘러봤다.

이미지 확대
중국 선전시 뤄후지구 내 한 건물 16층에 자리한 비밀 짝퉁 명품 창고에서 27일 한국인 관광객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중국 선전시 뤄후지구 내 한 건물 16층에 자리한 비밀 짝퉁 명품 창고에서 27일 한국인 관광객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명품 있어요, 명품”

지난 27일 오후 2시 중국 광둥성 선전시 뤄후(羅湖)상업구의 뤄후시장. 홍콩과 근접해 있는 뤄후상업구는 중국 최초의 경제특구 선전시에서도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다.

●가게 주인마다 짝퉁창고… “얼마든지 공급”

택시에서 내린 한국 손님을 가장 먼저 붙잡은 사람은 유창한 한국말로 호객하는 중년 여인이었다. 냅다 손을 뿌리쳤지만 그 여인은 에스컬레이터 몇개층을 따라붙으며 귀찮게 했다. 한 기념품점에 들어갔다. 한 점원이 다가와 자기를 ‘칭칭’이라고 소개했다. 그의 귀에 조용히 ‘밍핀’(명품)을 속삭이자 밖에 나가 잠시 주위를 두리번거리더니 슬그머니 두툼한 카탈로그를 꺼낸다. 수백가지의 시계, 가방, 구두 명품이 빼곡하게 소개돼 있다. 순간, 가게 문앞을 누군가 지나가자 거칠게 카탈로그를 뺏는다. 중국 내 가짜 명품단속이 심해졌기 때문이다. 이윽고 칭칭은 한국말로 “약간 멀기는 한데 우리 명품창고로 가자.”며 가게 밖으로 앞장서 나갔다.

폭염 속을 20여분간 걸어 20층 건물로 들어섰다.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타고 16층에 이르자 일반 살림집 같은 주택이 나타났다.

방 3개짜리 20여평의 ‘짝퉁 명품’ 창고가 모습을 드러냈다. 말이 창고지 번듯한 가게 수준. 가장 큰 방에는 시계, 핸드백, 지갑, 여행가방이 수천개 진열돼 있다.

●휴가때 한 가게에 수백명 몰려

안내대에는 한국사람들이 특히 많이 찾는 물품목록이 따로 정리돼 있었다. 물건을 고르고 곳곳에서 흥정하는 소리로 에어컨을 틀어놓은 창고는 무척이나 어수선하고 더웠다. 정품이 60만원인 ‘던힐’ 가방은 중국돈으로 500위안(6만원),70만원이 넘는 루이뷔통 핸드백은 600위안(7만 2000원)에 가격을 부르고 있었다.‘보스’ 명함지갑은 50위안(6000원),‘구치’ 신발은 200위안(2만 4000원) 정도였다. 하지만 실제 판매가는 이 가격의 3분의1∼2분의1 선이었다. 칭칭은 “명품창고들은 한국 관광객들이 찾는 필수 코스다. 거의 모든 한국인들이 우리 제품의 정교함에 놀라곤 한다. 한국인들을 많이 상대해서인지 이제는 ‘밍핀’보다 ‘명품’을 발음하기가 더 편하다.”고 친한 척을 했다. 그는 짝퉁 찍어내는 공장이 중국에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아 말만 하면 한번에 몇 만개라도 공급해줄 수 있다고 자신했다.

관광객 박모(34)씨는 “한국에서 부탁한 사람도 있고 성의 표시해야 할 사람도 있고 해서 최소 8개 이상은 사가야 할 판”이라고 했다. 그는 가방, 지갑, 신발 등 10여개를 고른 뒤 ‘치바이’(700원)를 큰 소리로 외쳤다.

●400달러이상 물품 세관 신고규정 유명무실

칭칭은 이 많은 창고의 물품이 3∼6개월 정도면 동이 난다고 했다. 이번 여름 방학기간과 휴가 기간에만 그의 가게를 찾은 한국인들이 500명이 넘는다고 했다. 미화 400달러(약 40만원)가 넘는 물품은 한국 입국통관 때 세관 신고하게 돼 있지만 무시된 지 오래다. 칭칭은 물건을 산 한국인 관광객들에게 명함을 건네며 “겨울에 다시 친구들과 오면 새롭고 좋은 물품을 들여놓겠다.”라고 약속했다.

만족스러운 표정으로 쇼핑을 마친 한국인 관광객들과는 달리 중국인 가이드는 “한국인들이 중국 관광의 참맛을 잃어버린 채 가짜 명품을 사려는 데만 혈안이 돼 있다.”고 말했다.

글 선전 김준석 특파원 hermes@seoul.co.kr
2006-08-29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