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일의 어린이책] 초등 고학년 대상 어린이문화 비평서

[이주일의 어린이책] 초등 고학년 대상 어린이문화 비평서

황수정 기자
입력 2006-07-22 00:00
업데이트 2006-07-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 책 ‘어린이, 넌 누구니?’(최기숙 지음, 보림 펴냄)는 초등학교 5,6학년쯤 된 자녀와 부모가 함께 읽으면 제격일 문화해설서이다. 그동안 어린이를 독자층으로 잡은 문화비평서는 드물었던 게 사실. 단순 창작물을 뛰어넘어 깊이있는 글 읽기에 호기심을 보이는 초등 고학년이라면 권해봄직한 책이다.‘어린이와 함께 문화 읽기’라는 부제가 붙었다.

이 책에는 근·현대 공간을 주도해온 다양한 ‘어린이 문화’가 망라됐다. 어린이의 개념정의에서 출발해 1900년대 최남선 방정환 같은 지식인들이 펼친 어린이 문화운동을 되돌아보기도 한다. 첫장에서는 서당에서 교육받았던 조선시대 어린이들의 생활상이 먼저 언급된다. 그때 아이들이 어떤 내용의 무슨 책을 교과서 삼았는지를 귀띔하던 책은 자연스럽게 회화에 투영된 어린이 좌표를 끌어낸다. 조선시대 그림 속에 등장하는 어린이들의 모습이 작았던 이유, 여러명의 어린이를 한꺼번에 화폭에 담았던 화가 이중섭 이야기 등 문화비평의 소재들이 꼬리를 문다.

간단치 않은 이야깃감들이다. 하지만 겁먹을 필요는 없다.‘∼입니다’체의 어법이 무엇보다 다감한 느낌을 안기는데다 눈높이를 낮춰 이야기를 쉽게 풀어가려는 배려가 돋보인다.

어린이 대상의 근대 잡지에 대한 이야기 자체는 어린 독자에겐 자칫 따분할 수가 있겠다. 하지만 멀지 않은 중고등 교과과정에서 밑거름 지식으로 든든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책의 효용성은 더 커진다.“예나 지금이나 어린이의 특권은 ‘노는 것’입니다. 여러분도 학교에 가지 않는 어린 동생이 부러울 때가 있을 것입니다.”라며 독자를 살살 구스른 다음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놀고 있는 어린이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 있는데,‘백동자도’(百童子圖)라는 그림입니다.”라고 어느결에 본론을 쓰윽 꺼내놓는다. 짧은 해설과 함께 천연색 관련사진들이 틈틈이 맞물려 이해를 도와준다.

모두 5장으로 구성된 책은 시대를 두루 아우른다.1장 ‘역사 속의 어린이’에서 시작해 ‘그림 속의 어린이’(2장) ‘환상세계의 어린이’(3장) ‘어린이는 자란다’(4장) ‘움직이는 어린이’(5장) 등으로 이어지는데, 분위기가 제각각이다.‘환상세계의 어린이’편에서는 해리포터와 호그와트 이야기로 신나고,‘어린이는 자란다’편에서는 명작동화 ‘피터팬’, 황선미의 베스트셀러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 등의 함의가 쉽고 재미있게 풀리기도 한다.1만 5000원.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06-07-22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