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원인 파악도 않고 37%가 급식 재개

원인 파악도 않고 37%가 급식 재개

입력 2006-06-29 00:00
업데이트 2006-06-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급식 위생사고가 발생한 학교의 절반 이상이 사고가 났는데도 급식을 중단하지 않았거나 최종 역학조사가 나오기도 전에 성급히 급식을 재개했던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서울신문이 지난해 집단식중독 등이 일어났던 전국 19개 학교를 개별 추적한 결과, 전체의 21%인 4개 학교는 자체 판단에 따라 급식을 계속했던 것으로 밝혀졌다.37%인 7개 학교는 일단 중단은 했지만 최종 역학조사 결과도 확인하지 않고 급식을 재개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봄 A고등학교는 아침에 설사 증세를 보이던 학생 20여명이 점심 때쯤 나아지자 식단만 바꿔 급식을 그대로 진행했다.

4곳은 급식중단 조치도 안해

전남 B고등학교는 탈이 난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밖에 나가 음식을 사먹었다며 급식을 중단하지 않았다. 그러나 학생들의 가검물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면서 이 학교는 ‘주의’ 조치를 받았다.

원인분석에 한달… 학부모 재촉에 재개

지난해 겨울 수백명의 학생이 식중독 의심 증세를 보인 C초등학교에서는 사고발생 다음날 급식을 재개했다.“원인이 정확하지 않은 데다 방학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게 이유였다. 이렇게 1주일도 안돼 급식을 재개한 학교는 3곳이나 됐다.

이렇게 원인규명과 급식제공이 따로 노는 것은 최종 역학조사가 길게는 한달 가량이 걸리는 탓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식중독 원인을 밝혀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1차 조사에서 원인균이 밝혀지지 않으면 어차피 최종 의견서에서도 정확한 원인이 안 나온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학교들이 일단 급식부터 재개하고 보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위생사고가 난 학교 중 보존식에서 원인균이 검출된 곳은 21%인 4곳뿐이었다.

그러나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해서 음식이 안전하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이번에 문제가 된 노로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성 세균의 경우 음식에서 검출해 내기가 매우 힘들다. 지난해 밝혀진 원인균도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등 박테리아성 세균뿐이었다.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최상호 교수는 “음식에 다양한 재료가 들어가기 때문에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많다. 또 식중독균의 잠복기가 짧게는 반나절에서 길게는 며칠이라 역학조사 때 며칠간 섭취한 음식들을 모두 역추적하기란 상당히 어렵다.”고 설명했다.

11곳은 위탁·납품업체 안바꿔

사고 학교의 58%인 11개 학교는 사고 발생 이후에도 급식 위탁업체나 식자재 납품업체를 바꾸지 않았다.

대부분 음식이 아닌 학생들의 가검물에서만 병원성 세균이 검출됐다는 게 이유였다. 한 학교 관계자는 “음식에 이상이 있다는 증거가 없으니 통상 1년 단위로 하는 공급계약을 파기할 근거가 마땅찮다.”고 말했다. 하지만 D초등학교는 보존식에서 세균이 검출됐는데도 “문제가 발생한 냉장류 이외의 식자재는 계속 납품받아야 한다.”는 업체의 주장을 받아들여 계약관계를 유지했다. 학교급식 전국네트워크 이빈파 공동대표는 “최종 결과도 나오기 전에 같은 업체로 급식을 다시 하는 것은 아이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학교측의 엄연한 범법행위”라고 말했다.

유지혜 김준석 이재훈기자 wisepen@seoul.co.kr

2006-06-29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