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학생들 교묘한 커닝

중국 학생들 교묘한 커닝

윤창수 기자
입력 2006-06-23 00:00
업데이트 2006-06-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학 진학을 위한 중국학생들의 부정행위가 날로 교묘해지고 있다.

차이나 데일리는 21일(현지시간) 지난주 중국 전역에서 실시된 대입 영어시험(CET)에서 베이징에서만 100여명이 부정행위로 적발됐다고 보도했다. 다른 지역에서는 더 많은 부정행위가 발각됐다. 무선 이어폰 등 첨단장치에 커닝을 돕는 조직화된 업체까지 동원됐다.

대입 경쟁률 3.6대1

매년 대학에 들어가려는 학생은 950만명에 이르지만 입학 정원은 260만명밖에 되지 않는 상황 때문에 부정행위 도구와 시험 정보를 파는 일이 유망 산업으로 부상했다. 커닝 기술도 첨단을 달리고 있다.

우한에서는 한 학생이 직경 3㎜의 마이크로 이어폰을 귓구멍 안으로 밀어넣어 고막에 구멍이 났다. 이어폰을 제거하기 위해 수술을 받은 학생도 있다. 또 다른 학생은 몸에 단 전자장치가 폭발, 병원에 실려가기도 했다. 북서부 샨시성에서는 네 명의 학생이 대리시험을 치르다 발각돼 교장이 사기 혐의로 체포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한 고사장에서 노트북, 휴대전화부터 조끼와 지갑, 허리띠 안의 작은 수신장치까지 100여종의 부정행위 도구가 발각되기도 했다. 몇몇 대학은 감시 카메라와 휴대전화 통화를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했으나 학생들은 이러한 부정행위 방지 도구를 뛰어넘는 기술을 개발해내고 있다.

대입 점수가 취업에도 반영돼

CET점수는 대학 입학뿐 아니라 졸업장에도 기재돼 취업시에도 중요하게 작용하는 까닭에 부정행위가 빈번하다. 경찰은 이번에도 시험문제가 사전유출됐다는 보고를 받고 수사 중이다.

CET는 1987년 영어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됐다. 최근에는 학생들이 CET 때문에 영어 실력 향상보다는 시험 점수 올리기에만 급급하다는 지적도 있다. 칭화대의 한 교수는 “CET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도 말하기나 쓰기는 형편없다.”고 말했다.

중국에서는 30여년간 ‘한 자녀 정책’이 유지되면서 학생들은 시험 때마다 엄청난 스트레스와 부담을 받고 있다. 최근의 경제 성장도 꼭 성공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더하고 있다. 상하이에서는 올해 초 한 10대 여학생이 머리를 뒤로 묶지 않았다는 이유로 고사장에 들어가지 못하자 자살하는 사고까지 벌어졌다. 압박을 느끼는 것은 학생들뿐만이 아니어서 학부모들은 고사장 밖에서 교통을 통제하거나 경적을 울리는 택시기사에게 자녀들이 시험을 치르는 데 방해된다며 항의를 퍼붓는다. 심지어 택시 번호판에 ‘4’자가 있으면 아예 차를 타지 않는다. 주택가에서는 수험생들의 잠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저녁의 건설 공사가 중단되기도 한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06-06-23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