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6조 입찰가는 ‘毒’?

대우건설 6조 입찰가는 ‘毒’?

주현진 기자
입력 2006-06-16 00:00
업데이트 2006-06-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우건설 매각을 위해 제시한 입찰가격이 드러나면서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최종 우선협상자로 떠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업체들이 인수합병(M&A) 금액으로 6조원 이상을 제시하는 등 과열 양상을 띠면서 M&A 이후 동반 부실 우려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높다.

또 자산관리공사(캠코)가 주식 전량 매각, 감점제 도입 등 부실채권 매각과 인수가격을 높이는 데에만 급급한 나머지 인수 회사의 발전 가능성, 국내 경제 부담 등 중요한 문제를 등한시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대우건설, 금호건설 품으로 가나

15일 대우건설 노동조합 등에 따르면 최종 입찰에서 금호가 가장 높은 인수 금액을 써낸 것으로 나타났다. 금호는 채권단이 보유한 72.1% 전량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6조 6000억원선(주당 2만 7000원)을 제시했다. 두산그룹은 6조 4000억원을 써냈다. 프라임산업과 유진기업, 삼환기업 등은 각각 6조 1000억원,6조원,5조 5000억원 등을 제시했다.

당초 예상했던 5조∼5조 5000억원보다 무려 1조원 이상 많은 금액이다. 대우건설 주가(8일 기준 1만 2450원)보다 두 배 높은 수준이다. 경영권 프리미엄이 무려 97%나 붙었다.

때문에 대우건설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4067억원인데 비해 인수 업체가 자체 보유자금 1조여원을 토대로 나머지 4조여원을 빚으로 충당할 경우, 대우건설 인수 이후 경영에 막대한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캠코, 부실채권 매각 능력 ‘부실’?

전문가들은 매각 과정에서 원칙을 변경하고, 비가격부문 기준도 공개하지 않는 등 공정성이나 투명성은 무시하고 과당경쟁으로만 치닫게 한 점은 향후 국내 경제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매각과정에서 ▲당초 ‘50%+1주’만 매각한다고 했다가 72.1%의 주식을 전량 매각할 수 있다고 한 점 ▲분식회계 등 기업 도덕성 여부에 따른 감점제 추진 ▲500억원 이상의 M&A경력 등을 평가 기준에 반영하기로 원칙을 바꿔온 게 단적인 예다.

더욱이 최종 입찰가가 밝혀진 이상 가격 부문 중요성을 강조해 캠코로서는 최고가를 써낸 업체를 우선협상대상으로 선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2006-06-16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