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포로·납북자 생사 확인키로

국군포로·납북자 생사 확인키로

박정현 기자
입력 2006-02-24 00:00
업데이트 2006-02-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한은 23일 한국전쟁 당시와 그 이후의 국군포로와 납북자의 생사확인 문제를 협의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올해 6·15공동선언 6주년을 맞아 남북에서 각 200명의 이산가족 특별상봉을 실시하기로 했다.

남북은 제7차 적십자회담 마지막 날인 이날 금강산호텔에서 수석대표 및 대표접촉을 갖고 이같은 내용의 7개항으로 된 합의문을 채택했다. 북측이 남북간 공식회담에서 전쟁 이후 납북자 생사확인 문제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측에 살아있는 국군포로는 500여명, 전쟁시기 이후 돌아오지 못한 납북자는 480여명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남북은 하지만 막판까지 진통을 겪었던 국군포로와 납북자의 생사확인 방식에 대해서는 ‘이산가족 문제에 전쟁시기 및 그 이후 시기 소식을 알 수 없게 된 사람들에 대한 생사확인 문제를 포함시켜 협의·해결해 나가기로 한다.’고 합의해 북측의 기존의 이산가족 방식 입장을 반영했다.

남측은 국군포로와 납북자를 대상으로 별도의 생사확인작업을 벌이자고 요구했다. 남북은 이산가족 생사·주소확인 사업을 지속적으로 폭넓게 실시하기 위한 문제를 계속 협의하기로 했다. 아울러 6·15공동선언과 8·15 광복절을 맞아 이산가족 특별 화상상봉을 실시하기로 했다. 화상상봉 규모는 남북에서 각 60가족으로, 기존의 40명에서 늘어난 것이다.

화상상봉센터 준비와 이산가족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추진하는 데 필요한 설비자재 등을 북측에 제공하기로 했다. 이를 위한 실무접촉을 다음달에 갖기로 했다.8차 남북 적십자회담은 6월쯤에 금강산에서 개최된다.

금강산 공동취재단·

박정현기자 jhpark@seoul.co.kr

2006-02-24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