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증진 ‘藥쌀’ 쏟아진다

건강증진 ‘藥쌀’ 쏟아진다

백문일 기자
입력 2006-02-16 00:00
업데이트 2006-02-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혈압과 아토피성 피부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신소재 쌀’이 나온다. 이유식이나 음료수에 활용할 수 있는 ‘달콤한 쌀’과 성장촉진에 좋은 철분·아연 등이 대량 함유된 ‘미네랄 쌀’도 개발된다.

이미지 확대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의 한 연구원이 개발된 각종 기능성 쌀의 표본을 보여주고 있다.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의 한 연구원이 개발된 각종 기능성 쌀의 표본을 보여주고 있다.
농촌진흥청 산하 작물과학원은 15일 쌀 시장 개방에 따른 농가의 피해를 줄이고 쌀 소비 확대와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이같은 특수목적의 신품종 쌀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홍열 작물과학원 농업연구관은 “미네랄을 함유했거나 의약대체성 물질이 포함된 신품종 쌀은 이미 계통 연구를 끝냈다.”면서 “앞으로 5년이면 품종 개발을 마쳐 상품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쌀은 의약품이 아니며 질병을 예방하는 효능을 가졌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연구는 쌀의 색소나 단백질 등에 있는 영양분을 분석한 뒤 인공교배나 돌연변이 유도 등을 통해 특수목적의 기능성 쌀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예컨대 신장병이나 아토피성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글루테린이나 글로불린 등의 단백질을 거의 없애거나 철분·아연 등 혈액순환과 성장촉진 등에 좋은 미량원소의 함유량을 크게 높인 쌀 등이다.

이런 종류 이외에 콜레스테롤과 혈전을 없애고 당뇨 등의 성인병도 예방할 수 있는 고(高)기능 쌀의 개발도 추진되고 있다. 작물과학원은 3∼5년전부터 연구를 한 결과 심장박동 조절 등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는 ‘큰눈벼’를 개발, 지난해 품종등록을 마쳤으며 곧 시장에 나올 전망이라고 밝혔다.

당뇨와 비만을 예방해주는 환자식 ‘다이어트 쌀’은 이미 개발돼 팔리고 있다.

과학원은 쌀의 성분인 전분의 구성을 다양화해 제과나 음료 등에 맞는 가공용 쌀과 가축들이 잎과 줄기도 먹을 수 있는 사료용 쌀 개발도 본격화하고 있다. 오는 2010년 상품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백문일 기자 mip@seoul.co.kr
2006-02-16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