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을 떠나보내며

백남준을 떠나보내며

입력 2006-01-31 00:00
업데이트 2006-01-3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방가르드는 오래 살아야한다. 살아서 승부를 보아야 한다.”라고 입버릇처럼 외치던 백 선생님께서 74세를 일기로 타계하셨다. 한국이 낳은 20세기 최고의 예술가 백남준, 혜안과 용기로 미래적 비전을 제시하는 문화적 ‘비저너리’이자 실험적 아방가르드로서 60년대 해프닝의 주역, 비디오의 창시자가 되었던 그가 10여년의 투병 끝에 우리 곁을 떠나신 것이다.

세계미술사의 한 장을 차지하면서 세계적인 ‘남준팩’이 된 백남준, 그가 한국 미술계, 한국의 젊은 미술인들에게 남긴 교훈은 적지 않다. 무엇보다 그는 한국전통, 아시아 정신의 뿌리를 추적하는 ‘글로컬’한 작품세계로 세계속 한국미술을 일궈내고자 노력하는 한국의 젊은 작가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어 주셨다. 그는 실로 한국을 떠나면서 세계적인 작가가 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아이로니컬하게도 한국성, 아시아성에 대한 강한 집착과 그것을 작품에 녹여내는 미학적, 조형적 탐구 의지가 깔려 있었다. 어려서 고국을 떠나 홍콩, 일본, 유럽을 거쳐 미국으로 이주하고 국제적인 예술활동으로 세계인이 된 그에게 이주, 이산, 유랑 등 탈식민주의 이슈와 함께 민족, 인종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삶, 예술과 분리될 수 없는 의식의 한 층을 형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산(離散) 작가에게 정체성에 대한 관심은 절실하면서도 보편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백남준에 있어 특이한 점은 정체성이라는 화두를 새로운 조형방식과 미학언어로 풀어냄으로써 비디오라는 새로운 장르의 예술을 창안하였다는 점이다. 그에게 있어 새로움의 추구는 예술뿐 아니라 인생의 좌우명으로 그것이 그로 하여금 아방가르드와의 끈을 놓지 않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아방가르드의 특성 가운데 하나가 시각의 결단력 있는 재조정이라고 규정할 때, 서구적 가치관과 전통미학에 대한 도전으로 극단적 변화를 유도한 백남준이야말로 아방가르드의 선봉에 자리매김된다고 볼 수 있다. 더구나 예술의 사회적 역할, 타자와 주변 문화의 목소리에 대해 주목하면서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적이게, 음성 없는 것에 음성을 부여하는 탈식민주의, 후기구조주의 시대에 서구에 대응하는 아시아 효과를 증폭시킨 백남준의 예술은 탈중심주의에 입각한 현대적 정치예술의 목적을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백남준은 실로 예술과 사기, 예술과 정치 사이의 ‘위험한 사잇길’에서 유희한다. 이러한 유희가 그의 예술에 힘과 맛을 부여한다.

그는 예술에 하극상이 없으면 발전이 없다는 ‘하극상론’, 현대미술은 진선미보다 새로움이 앞서야 된다는 ‘신(新) 우선설’,“국수주의도 사대주의와 같은 망국병이다, 한국의 젊은 작가들이 외세를 받아들이고 동시에 이기기 위하여는 무엇이든 씹고 소화시켜야 한다.”는 강한 이빨론 등 예술과 사회, 미술과 생활에 대한 진솔하고도 통찰력 있는 경구들로 우리의 머리와 가슴에 깊은 여운을 남겼다. 그래서 그를 떠나 보내는 슬픔은 세계적 ‘남준팩’으로서의 존재나 위상에 앞서, 훈훈하고 끈끈한 정을 붙들고 살라온 한국인 백남준에 대한 허탈함과 상실감으로 더욱 깊어진다.

김홍희 쌈지스페이스 관장
2006-01-31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