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늑 대/이용원 논설위원

[씨줄날줄] 늑 대/이용원 논설위원

이용원 기자
입력 2006-01-14 00:00
업데이트 2006-01-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우석 서울대 교수가 엊그제 국민에게 사과 성명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복제 개 스너피를 뛰어넘는 특수동물 복제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는데 그 특수동물은 늑대를 지칭한 것임이 곧 밝혀졌다. 황 교수가 늑대 복제에 실제 성공했는지는 검증을 해봐야 알 일이지만 어쨌든 늑대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은 높아가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게 늑대와 이리는 어떻게 다른가 하는 점이다.

국어연구원이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늑대(학명 Canis lupus coreanus)와 이리(Canis lupus)가 별개의 짐승으로 올라 있다. 하지만 설명을 보면 모습과 체격, 습성, 분포지역 등에 큰 차이가 없어 쉽게 구분되지 않는다. 다만 학명으로 미루어 늑대가 이리의 한 종류로서 한국 특산품임을 알 수 있을 뿐이다. 북한의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가 간행한 ‘현대조선말사전’에서도 늑대와 이리는 엄연히 다른 동물이다. 아울러 남한 사전에는 늑대를 ‘여자에게 엉큼한 생각을 가진 남자’로, 북한 사전에는 이리를 ‘남을 해치는 사납고 흉악한 놈’으로 비유한다고 각각 설명해 두 짐승은 이미지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려준다.

남북한 국어사전 모두가 늑대와 이리를 별도로 다루었듯이 우리는 전통적으로 두 짐승을 구분해 왔다. 이리는 만주를 비롯해 유럽·북미주에 널리 퍼져 사는 동물을 총칭했고, 늑대는 그 중에서 우리땅에 사는 특산만을 일컬었다. 그래서 서울대공원 동물부장을 지낸 오창영 씨의 책에는 일본의 동물원들이 늑대를 진귀하게 여겨 우리 발음대로 ‘누꾸데’라고 불렀으며 앞다퉈 분양을 요청했다는 대목이 나온다.

그러나 세월이 갈수록 늑대와 이리가 사라지면서 두 짐승을 구분할 필요성이 없어진 모양이다. 그 결과 한 세대 전에는 ‘이리왕(王) 로보’란 제목이 붙던 동물학자 어니스트 시튼의 작품이 요즘은 ‘늑대왕 로보’로 바뀌어 나온다. 그뿐이 아니다. 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비롯해 브리태니커, 두산·동아 세계대백과사전 등 유수한 백과사전에서 이리는 별도 항목에서 사라지고 없다.‘이리’라는 단어는 소멸하고 그 의미를 ‘늑대’가 대체한 것이다. 이땅에 겨우 남은 몇 마리마저 보호하지 못하면 늑대도 앞으로는 사전에서만 숨쉬는 동물이 될 것이다.

이용원 논설위원 ywyi@seoul.co.kr
2006-01-14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