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나눔] 전통문화 지원 인색한 국내기업

[생각나눔] 전통문화 지원 인색한 국내기업

김미경 기자
입력 2006-01-06 00:00
업데이트 2006-01-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11월 말 유네스코가 ‘세계무형문화유산’에 1000년 전통의 강릉단오제(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를 선정한 것은, 우리의 무형문화재가 세계적인 관심을 끄는 계기를 만든 일대 사건이었다. 그러나 정작 국내에서 무형문화재에 기울이는 정성은 부끄러울 만치 적다. 음악·연극·공예기술 등 무형문화재 지정종목만 109개에, 전승자만 3000명이 넘지만 고작 판소리나 봉산탈춤 정도만 알려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외국계 기업들 열띤 지원

이런 가운데 소외된 우리 무형문화재를 지원하려는 외국계 기업들의 물밑 작업이 이뤄져 주목된다. 지원은 고마운 일이지만 판소리 명창과 승무 대가, 전통장 등 전통문화의 ‘정수’(精髓)인 무형문화재의 전승을 외자(外資)에 의존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문화재청이 무형문화재 보유자를 지원할 의사가 있는 국내외 기업들을 접촉한 결과, 필립모리스와 제너럴일렉트릭(GE), 필립스, 에르메스 등 굴지의 외국계 기업들이 지원의사를 표명했거나 검토 중인 것으로 5일 확인됐다.

109종목중 삼성화재만 1개 지원

담배회사인 필립모리스는 우리의 전통 담뱃대인 곰방대 제조 기술보유자를, 전자업체 필립스는 전통 조명 기술보유자를, 패션브랜드 에르메스는 명주짜기 기술보유자를 각각 지원하는 방법을 고려 중이다. 에디슨전기의 전신인 GE는 우리나라 최초 전기 발상지인 서울 경복궁 건청궁에서 지난해 8월 ‘빛 전시회’가 열린 뒤 등화구 제조기술 지원과 건청궁 복원에 참여키로 했다. 이밖에도 상당수 외국계 기업들이 제품과 기업 이미지에 맞는 무형문화재를 골라 지원하는 방안을 문화재청과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기업은 무형문화재 전승자에게 보조금을 지원하거나, 공연·전시 협찬 등을 하면서 자사 홍보에 이들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외국기업들의 러브콜과는 대조적으로 무형문화재를 지원하겠다는 국내 기업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4월부터 기업·법인과 문화재를 연결, 직원들이 문화재를 가꾸고 보호하는 ‘1문화재 1지킴이 운동’을 벌여온 문화재청은 보호 문화재 대상을 유형에서 무형으로 확대하면서 국내 기업들을 접촉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난색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지킴이 운동 협약을 맺은 8개 국내 기업 가운데 삼성화재 단 한 곳만 베를 짜는 베틀의 한 부분인 바디를 만드는 ‘바디장’ 보유자에게 전승보조금을 지급키로 했다.

문화재청 문화재정책과 강임산 전문위원은 “유형문화재에 비해 무형문화재는 잘 알려지지 않아 국내 기업들의 참여가 더딘 것 같다.”면서 “전수자와 기업이 서로 ‘윈·윈’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06-01-06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