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음주’에 대한 너무다른 남녀 시각

‘여성음주’에 대한 너무다른 남녀 시각

유영규 기자
입력 2005-12-28 00:00
업데이트 2005-12-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속되는 송년모임과 파티 등 술자리로 2005년 한 해가 저물고 있다. 과음과 늦은 귀가로 정신없이 밤을 보내고 멍하게 아침을 맞는 날이 부쩍 늘었다. 여기에서는 여성들도 예외일 수 없다. 하지만 밖에서 부딪치는 술잔만큼이나 가정의 평화와 애정전선에는 금이 가기 쉬운 게 현실. 여성들의 음주를 주제로 남녀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이미지 확대


“술을 마시는 게 아니라 아주 붓더라, 부어. 내참….”“그럼 자기는 내가 그러는 게 창피해?”

1년간의 결혼생활 중 최재연(27·여·서울 방배동)씨가 남편에게 들은 가장 충격적인 말이었다. 그것도 기분 좋아야 할 성탄절 아침에 이런 소리라니. 전날 밤 있었던 연말 부부동반 송년회가 화근이었다. 평소 술 마시는 것을 좋아했던 최씨. 이 사람 저 사람 건네는 잔을 넙죽넙죽 받아먹었다. 전체 마신 양은 소주 한병 반에 맥주 2000㏄ 가량. 취기가 올랐고 얼굴이 붉어지긴 했지만 남 보기에나 자기 보기에나 취할 정도는 아니었다. 특별한 실수도 없었다. 딱 하나, 말이 좀 많았던 것은 인정한다. 최씨는 유독 아내의 음주에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남편이 못내 불만스럽다.

이미지 확대
결혼 2년차에 들어선 회사원 조모(여·31)씨도 최근 술에서 비롯된 늦는 귀가 탓에 한바탕 부부싸움을 벌였다. 연말 부서 회식 때문에 늦은 조씨가 아파트 현관에 도착한 것은 새벽 2시40분. 조씨는 열쇠로 문을 열어 봤지만 잠긴 문고리가 도통 움직이지 않았다. 하긴 술자리가 파하기 40여분 전 늦는다고 남편에게 전화를 했을 때 분위기가 심상치 않기는 했더랬다. 하지만 설마 아파트 현관 안전걸이를 안에서 잠가버릴 줄이야. 영하 10도를 오르내리는 추위 속에 아파트 복도에서 30분을 떨고 난 뒤에야 ‘딸깍’하고 현관문이 열렸다. 새벽 3시10분. 조용하던 아파트 단지에는 아내와 남편의 고함과 맞고함이 쩌렁쩌렁 울렸다.

음주비율 남자 82.7%·여자 59.5%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국내 20세 이상 성인 남녀의 음주비율은 69.8%. 남자는 전체의 82.7%가, 여자는 59.5%가 술을 마신다. 남성의 68.6%와 여성의 27.7%는 자주 마시거나 가끔씩 술을 마시는 것으로 파악됐다.

알코올 의존 및 남용에 따른 평생 정신질환 유병률은 남자 100명 당 25.2명, 여자 6.3명으로 평균 15.9명인 것으로 분석됐다.

“결혼해서 남편과 포장마차에서 술 한잔 같이 하려면 술을 즐길 줄도 알아야 한다며 억지로 권하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이젠 술 마시는 꼴을 못 봐요.”

연애시절 남편과 술을 자주 즐겼던 아내들의 흔히 갖는 불만이다. 많은 사람들이 남편이 결혼 뒤 돌변한 것 중 하나가 아내의 음주에 대한 시각이라고 입을 모은다.

최씨의 경우도 마찬가지. 게다가 술을 한방울도 못했던 그에게 술을 가르쳐 준 사람이 다른 사람도 아닌 남편 아니었던가. 그래서 더 섭섭하다. 그는 애주가인 남편이 정작 자기 아내의 술자리는 인정하지 않으려는 것이 섭섭하다 못해 얄밉기까지 하다.

여 “결혼 전에는 그나마 관대”

맞벌이 부부인 경우 아내의 업무상 음주로 인한 다툼의 기회가 잦다. 조씨는 “아내가 술을 줄기는 편이 아니란 점을 잘 알면서도 회식이나 업무상 불가피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남편이 너무 섭섭하다.”면서 “술자리만 있으면 무조건 도망치는 후배나 여직원들을 보며 남편은 어떤 평가를 하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그나마 관대한 미혼의 경우에도 술자리가 조심스럽긴 마찬가지다. 자칭 애주가인 회사원 김모(29·여)씨는 저녁에 술을 마시다가 휴대전화에 남자친구의 번호가 찍히면 거의 100m 달리기를 하듯 뛰어 나간다. 최대한 조용한 곳으로 몸을 옮긴 뒤 “어, 집이야. 오빠는?”이라고 되물으며 나름대로 ‘하얀 거짓말’을 한다. 자정까지 집에 들어가지 않고 술을 마신 것이 들통나는 날에는 몇 시간 동안이나 남자친구의 ‘취조’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회사원 정모(26·여)씨는 최근 3년간 사귀던 남자친구와 헤어졌다. 정씨의 늦은 귀가가 문제였다. 정씨는 직업상 잦은 회식에 술을 마시고 새벽녘에야 집에 들어가는 스타일이었던 반면 남자친구는 자기 이외의 술자리는 인정하려고 들지 않았다. 정씨는 “연애할 때는 봐주지만 결혼해서도 그러면 곤란하다고 엄포까지 놓더라.”면서 “서로 이해의 폭이 좁다면 결혼 이후에 더 큰 문제가 생길 것 같아 헤어졌다.”고 말했다.

반면 남자들의 생각은 다르다. 술자리도 문제지만 밤길 늦은 귀가가 더 걱정이라는 것. 연애 3년차인 이수영(29)씨는 “안 그래도 위험한 밤길에 술 취한 여자친구가 늦게 들어가는데 걱정 안 한다면 오히려 비정상 아니냐. 비교적 자기방어 능력이 강한 남자와 여자를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했다.

남 “술자리보다 늦은 귀가 걱정”

맞벌이를 한다는 이선규(33)씨는 “옳든 그르든 술 취한 여자를 곱게 보지 않은 시각도 부담스러운 건 사실 아니냐. 자기 아내가 그런 시선을 받는다는 것은 결코 유쾌한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결혼 전에는 어떻게든 같이 있고 싶고 바래다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아내가 술 마시는 것을 반기기도 했지만 지금은 술을 권하지 않는다.”라고 했다.

공무원 김모(34)씨는 결혼 8년차다운 해석을 했다. 김씨는 “솔직히 연애할 때는 술에 취하든 뭘하든 다 예뻐 보이기도 하고 남자 스스로도 잘 보이기 위해 이해심이 넓은 척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면서 “살면서 서로 무덤덤해지면 술이건 뭐건 싸울 일도 그만큼 적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05-12-28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