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튼, 황교수에 요구한 20만弗 줄기세포허브 발족 예산 내역”

“섀튼, 황교수에 요구한 20만弗 줄기세포허브 발족 예산 내역”

장세훈 기자
입력 2005-12-22 00:00
업데이트 2005-12-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럴드 섀튼 미국 피츠버그대 교수가 지난 9월 황우석 서울대 교수에게 20만달러를 요청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돈의 성격과 실제 지급 여부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제인 더필드 피츠버그대 대변인은 20일(현지시간) “섀튼 교수가 황 교수에게 줄기세포허브 발족 등을 위해 20만달러의 ‘초기 예산 내역서’를 보낸 사실이 있다.”면서 “이 서류는 결국 이뤄지지 않았던 미국내 세계줄기세포허브 발족을 위한 제안서에 불과할 뿐이며, 어떠한 돈도 지불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구원3명 초기봉급+여행경비”

이 예산 내역서에는 섀튼 교수 자신의 1년치 연봉으로 25만 9000달러를 비롯, 캘빈 시멀리와 로라 휴잇슨 등 피츠버그대 소속 연구원 2명에게 각각 12만 6274달러,10만 9803달러가 책정됐다. 이에 따른 초기 봉급액으로 3명에게 각각 7만 9858달러,3만 8829달러,3만 3764달러를 지급해 달라고 제시됐다. 또 이들 3명의 여행 비용으로 1만 5000달러가 포함돼 있다. 더필드 대변인은 “섀튼 교수와 황 교수는 피츠버그대가 아닌 미국내 어디엔가 줄기세포허브를 발족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서로 논의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같은 섀튼 교수의 요청이 비정상적인 게 아니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연구시간 25% 투자… 정당한 인건비”

최규호 변호사는 21일 “청구서의 ‘effort on project 25%’는 자신의 업무시간 중 25%를 해당 프로젝트에 투자하겠다는 뜻”이라면서 “이 경우 해당 연구자의 연봉 25%를 인건비로 지급하는 것은 국내에서도 당연한 관행”이라고 설명했다.

최 변호사는 이어 “황 교수는 섀튼 교수에 연구과제 용역으로 줬고, 섀튼 교수는 이에 따라 비용 청구를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는 공대 등의 연구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이뤄지는 흔한 관행이며, 이번 청구액인 20만달러도 연구 프로젝트 관점에서 볼 때 큰 규모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5-12-22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