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동의 현대사 60년 ‘앵글의 기록’

격동의 현대사 60년 ‘앵글의 기록’

홍지민 기자
입력 2005-12-07 00:00
업데이트 2005-12-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진으로 격동의 현대사와 교감한다.’

이미지 확대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1967년 10월 미국 워싱턴 반전시위장에서 총검으로 완전무장한 군인들에게 꽃 한송이를 건네고 있는 한 소녀의 모습(마크 리보 작품).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1967년 10월 미국 워싱턴 반전시위장에서 총검으로 완전무장한 군인들에게 꽃 한송이를 건네고 있는 한 소녀의 모습(마크 리보 작품).
‘매그넘’(Magnum)이라는 국제적인 보도사진작가 그룹이 있다.1947년 로버트 카파의 주도로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조지 로저, 데이비드 세이무어 등이 힘을 합해 결성했다. 사진작가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고, 저작권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세상을 있는 그대로 기록한다.’가 이들의 원칙. 단순히 기록에 치중하는 것만은 아니다. 피사체의 감정과 감춰진 이야기가 평면의 사진 속에서 부활한다. 이들의 작업은 철저한 기자 정신과 풍요로운 예술가 정신이 조화를 이룬 결정체로 평가받고 있다. 보도·다큐멘터리를 지향하면서도 각각 작가주의적 앵글을 가지고 현대사 현장 곳곳을 누비는 것이다. 특히 세계 분쟁지역과 험난한 오지, 화려한 현대 사회의 뒷모습에 포커스를 맞춘다.

작고한 회원을 포함,60여명의 회원을 거느린 ‘매그넘’이 현재까지 찍었던 작품은 3000만장이 넘는다고 한다. 현대사의 모든 것을 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국내에서 성황리에 작품전이 열렸던 브라질 출신 사진작가 세바스티앙 살가도도 ‘매그넘’의 회원이다.

사진은 백 마디 말보다 훨씬 강력한 힘을 지닌다는 말이 있다.‘매그넘’의 작품을 디딤돌로 세계 현대사 격동의 순간, 순간을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됐다.

EBS가 연말을 맞아 특집 다큐멘터리 ‘사진, 현대사 60년을 담다’를 준비한 것. 오는 11일과 18일 오후 9시 두 차례로 나뉘어 ‘매그넘 안방 사진전’이 열린다.1편은 1945년에서 베트남전까지,2편은 베트남전에서 이라크전까지를 담았다. 지난 여름 일본 NHK에서 제작했다.

어찌보면 정적인 사진과 동적인 TV라는 매체는 어울리지 않을 것 같다. 하지만 300∼400장의 사진 하나하나가 배경음악과 함께 역사라는 의미있는 조합으로 훌륭하게 묶여지고 있다.2차대전 종전과 동서 냉전의 시작, 그리고 한국전쟁. 중동전쟁과 중국의 문화혁명에 이어 베트남전쟁과 베를린 장벽의 붕괴, 또 가장 최근인 걸프전과 이라크전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기억해야 할 현대사가 100분 동안 사진으로 총망라된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등 2차대전 현장을 생생하게 잡아낸 로버트 카파와, 한국전쟁을 기록한 스위스의 베르너 비숍, 냉전기에 소련에서 활동한 엘리엇 어윗, 베트남전 당시 북베트남 잠입 촬영으로 유명해진 마크 리보 등 ‘매그넘’ 작가 24명의 살아 숨쉬는 작품들을 주로 만날 수 있다.

주요 작가들의 인터뷰와 함께, 미국 뉴욕에 위치한 ‘매그넘’ 본사도 구경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05-12-07 2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