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논란’ 진정국면] 제작진 곧 징계… 인책론도

[‘줄기세포 논란’ 진정국면] 제작진 곧 징계… 인책론도

홍지민 기자
입력 2005-12-06 00:00
업데이트 2005-12-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리 문제를 제기했는데, 윤리 문제로 무너졌다.”

한마디로 MBC는 초상집 분위기다. 지난 2일 창사 44주년을 맞았다는 흔적은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 권투로 치면 올해 연달아 카운터펀치를 맞으며 그로기 상태에 몰린 셈이다.
이미지 확대
MBC가 네티즌의 공세에 몸살을 앓고 있다. 사진은 MBC 시청 거부를 촉구하며 한 네티즌이 만든 스티커.
MBC가 네티즌의 공세에 몸살을 앓고 있다. 사진은 MBC 시청 거부를 촉구하며 한 네티즌이 만든 스티커.


난자 매매 의혹 첫 보도 당시 내부에서도 의견이 상당히 엇갈렸으나 대체적으로 “팩트를 보도했다.”며 위안을 삼았었다. 그러나 5일에는 “취재과정에서 강압이 없었다는 제작진의 주장을 믿었는데, 정말 할 말이 없다.”며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5일 3시간 넘게 열린 MBC 최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이사장 이상희, 이하 방문진)의 긴급간담회에서도 이같은 분위기는 이어졌다. 최문순 사장이 ‘PD수첩’ 파문의 경과와 후속대책 등에 대해 보고한 이날 간담회에서는 이번 사태에 대한 대응방안을 두고 이사들 사이에 격론이 벌어졌다.“MBC의 최고 경영자에게 대주주로서 경고의 메시지를 전해야 되는 것 아니냐” “‘PD수첩’이 국민 여론을 무시한 것 아니냐”는 등 질타의 목소리가 이어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간담회에서 최문순 사장은 스스로 거취 표명은 하지 않았으며, 후속 보도에 대해서는 유보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책임자 징계나 ‘PD수첩’ 존폐 문제 등에 대해서도 구체적 방침을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사들 사이에서는 최사장의 거취문제가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상옥 방문진 사무처장은 이날 회의에 대해 “방문진이 MBC 최문순 사장과 최진용 시사교양국장에게 이번 문제에 대한 보고를 직접 듣고 진지한 토론을 벌였다.”고 밝혔다.

한편 방문진 일각에서는 “끝까지 사실을 추구해 언론 본연의 임무를 해야 되는데 너무 일찍 대국민 사과를 발표함으로써 후속 보도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MBC가 취재윤리 위반에 관한 한 분명한 책임을 묻겠다고 밝힘에 따라 ‘PD수첩’ 제작진에 대한 징계는 조속히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MBC 관계자는 “징계 수위는 조만간 인사위원회를 열어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MBC는 올초 ‘구찌 핸드백 파문’ 관련자에게 정직 2∼3개월, 감봉 3개월 징계를 내린 바 있다. 험한 여론을 고려하면 이보다 높은 징계가 나올 수도 있다.

또 ‘PD수첩’은 6일 방영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났다. 이를 대신해 임시편성된 다큐멘터리가 재방송된다.‘PD수첩’은 내부 논의를 거쳐 이르면 13일 방송을 재개할 예정이다.

최진용 MBC 시사교양국 국장은 ‘PD수첩’ 폐지 여부에 대해서는 “‘PD수첩’이 이번 취재 과정에서 물의를 일으켰지만, 지난 10여년 동안 순기능도 컸다고 생각한다.”면서 “폐지까지는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폐지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05-12-06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