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4개도로서 年2934마리 로드킬” 도공 집계의 4배

“지리산 4개도로서 年2934마리 로드킬” 도공 집계의 4배

박은호 기자
입력 2005-11-04 00:00
업데이트 2005-11-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드킬(road-kill·차량사고로 숨진 야생동물) 실태가 그동안 알려진 것보다 훨씬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산 주변 도로의 일부 구간에서만 한해 동안 무려 3000여마리에 육박하는 각종 야생동물이 숨졌다. 이 가운데 멸종위기종과 천연기념물 등 정부가 지정한 법정보호종도 171마리에 이르렀다.88고속도로의 경우 한국도로공사 등의 공식집계보다 4배 넘게 많은 것으로 조사돼 공사 통계치의 신빙성마저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이미지 확대
3일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의 로드킬 실태 조사팀에 따르면 지난해 7월∼올해 6월까지 88고속도로와 19번 국도 등 지리산 일대 4개 도로에서 1년 동안 모두 2934마리의 야생동물이 차량사고로 숨졌다. 같은 기간 전국 3000㎞의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한 도로공사의 공식집계(2923마리)와 엇비슷한 규모다.

서울대팀은 지리산국립공원을 두른 도로(320㎞) 가운데 절반에 못 미치는 119㎞만 조사대상 구간으로 삼았는데, 여기에서만 매일 8마리, 한 달 245마리의 야생동물이 숨진 셈이다. 법정보호종 로드킬은 171마리로, 이 중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삵이 64마리로 가장 많았고 소쩍새(천연기념물)가 55마리였다. 큰소쩍새(천연기념물)와 하늘다람쥐(멸종위기종·천연기념물)도 각각 17마리,10마리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결과와 도로공사의 집계는 현격한 차이가 났다. 조사구간이 겹친 88고속도로(함양∼남원간 44㎞)의 경우 실제 883마리가 숨졌으나, 도로공사 집계는 202마리에 불과했다. 특히 법정보호종의 경우 서울대팀 조사결과는 소쩍새 39마리, 삵 35마리 등 총 171마리였으나, 도로공사 집계엔 한 마리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은호기자 unopark@seoul.co.kr



2005-11-04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