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호랑이 또 온다

백두산호랑이 또 온다

박승기 기자
입력 2005-11-01 00:00
업데이트 2005-11-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중 우호의 상징인 ‘백두산 호랑이’ 한쌍이 다음달 APEC 정상회의에 맞춰 중국으로부터 재반입된다.

이미지 확대
1994년 중국정부로부터 기증받은 백두산 호랑이 ‘백두’와 ‘천지’. 광릉국립수목원 제공
1994년 중국정부로부터 기증받은 백두산 호랑이 ‘백두’와 ‘천지’.
광릉국립수목원 제공
31일 산림청 등에 따르면 한·중 국교수립(1992년)을 기념해 1994년 당시 장쩌민 중국 주석이 한쌍을 기증, 광릉 국립수목원에서 보살펴왔다.‘백두’와 ‘천지’로 이름지어져 국민들의 사랑과 관심을 받으며 성장했지만 15∼16세가 될 때까지 2세를 보지 못해 애를 태웠다. 그러나 백두와 천지의 나이가 사람으로 치면 60대에 달해 더 이상 출산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최종 진단을 내렸다.

그 동안 2세 생산을 위해 기울인 노력은 눈물겹다. 비아그라에, 애로비디오(?)까지 제공하며 사랑의 불씨를 살리는 데 주력했지만 무위로 끝났다.

국립수목원 관계자는 “호랑이 새끼 생산을 위해 별 방법을 다 동원했지만 교미를 회피하는 데 어쩔 수가 없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한·중 우호의 상징으로 새끼를 낳으면 분양 계획까지 세웠던 양국은 헛물만 켠 셈이 돼버렸다. 결국 지난 5월 양국 관계자가 해결책 모색에 나섰고 중국측이 최근 동북호림원에서 1쌍을 무상 재반입하기로 통보해왔다.

다음달 국내 반입을 앞두고 호랑이 개체확인을 위해 이미 국내 전문가가 중국을 다녀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들어오는 백두산 호랑이는 4∼5살배기 한쌍이다. 국립수목원은 적응을 위해 분리 생활하다 합방시키기로 하는 등 사육계획도 마련 중이다.

국립수목원 황근연 박사는 “양국 관계뿐만 아니라 한반도에서 멸종된 것으로 보고된 호랑이의 유전자원 보존을 위해서도 새끼를 낳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05-11-01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