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농업, 거꾸로 보자/전성군 농협 중앙교육원 교수

[발언대] 농업, 거꾸로 보자/전성군 농협 중앙교육원 교수

입력 2005-10-10 00:00
업데이트 2005-10-10 07: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머나! 쌀 캔이 나왔네.”쌀 캔은 별도로 씻을 필요없이 물만 붓고 밥을 지으면 된다. 당연히 주부들의 눈길이 쏠릴만 하다.

웰빙푸드 바람이 거세지고 있지만 웰빙형 농산식품의 판매는 기대만큼 오르지 않고 있다. 쌀밥 한번 실컷 먹어봤으면 하던 것이 불과 30년 전인데 쌀이 지천으로 남아돌고 있다. 농산품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전략과 대안들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지만 대부분 이벤트성으로 끝나고 있다.

무엇이 문제인가. 가요계를 벤치마킹해볼 필요가 있다. 장윤정의 ‘어머나’ 돌풍 이후 가요계에 복고풍 열기가 뜨겁다.‘어머나’ 성공비결은 가요시장의 게임법칙을 넘어 트로트는 기성세대만의 전유물이라는 고정관념을 깬 발상전환의 결과물이라고 본다.

그러면 농산품은 어떤 식으로 발상을 바꿔야 할까. 필자는 ‘농업 거꾸로 보기’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예컨대 빙산을 보자.90%가 물속에 잠겨 있고 10%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활용하지 않은 90%의 ‘블루오션’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덩치가 큰 대농(大農)보다 발상전환이 빠른 소농이 승리할 수 있다. 쌀의 경우, 관세화로 타결된다 해도 당장 외국쌀이 싼 가격으로 수입되는 것이 아니다. 초기에는 국내 쌀 가격과 비슷한 수준으로 판매될 것이고, 관세감축도 연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때문에 우리 쌀과 큰 가격 차이를 보이기까지 적어도 5년 이상 걸리는 만큼 이 기간에 블루오션을 찾아야 한다.

한국농업의 핵심역량인 친환경 농업이나 소농의 강점에 걸맞은 성공공식을 찾아내고 다양한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블루오션 찾기와 핵심역량구축 시스템이 완성되면 외국쌀이 들어와도 소비자에게 접근할 틈이 줄어들게 된다. 외국쌀을 수입해도 별 이득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 수입상들도 자취를 감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쌀 소비촉진운동을 범국민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그렇다고 소비자 주권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당장은 어렵겠지만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가격과 품질개선이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 쌀 수입의 빗장이 풀려가는 지금이야말로 ‘어머나´처럼 농업 거꾸로 보기를 실천할 때다.

전성군 농협 중앙교육원 교수
2005-10-10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