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1조원 대북지원 국민공감 필수다

[사설] 11조원 대북지원 국민공감 필수다

입력 2005-09-24 00:00
업데이트 2005-09-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대북 에너지 지원비용 추정치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정 장관은 엊그제 국감 답변을 통해 “향후 9∼13년간 적게는 6조 5000억원에서 최대 11조원의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경제규모를 감안할 때 어마어마한 지원이며, 남측에도 큰 부담이 되는 액수다. 이 정도의 대북지원을 하려면 타당한 이유가 제시되어야 하고, 국민공감대가 선행되어야 한다.

먼저 지원비용 추산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통일부는 세부내역으로 3년간 중유제공 1500억원, 대북송전 설비 1조 7000억원,6∼10년간 송전비용 3조 9000억∼8조원,200만㎾ 경수로 건설비용 7000억∼1조원을 제시했다. 한나라당은 송전비용을 낮게 계산했다며 20조원 가까운 비용이 든다고 반박하고 나섰다. 정부는 또 경수로 지원 경비를 5개국이 균등분담하는 것으로 계산했다. 미국 등이 흔쾌히 돈을 냈으면 좋겠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정부 추산은 북한이 핵을 폐기하고 중유제공-대북송전-경수로 건설 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을 전제로 한 것이다. 신포경수로처럼 사업이 지체되면 경비는 부쩍 늘어난다. 북한이 전력과 경수로를 모두 요구하면 이중부담의 위험성도 있다.

정부는 지금 세수부족으로 쩔쩔 매고 있다. 국방개혁, 행정도시 건설, 양극화 해소 등 앞으로 돈 쓸 일이 많다. 대북 에너지 및 식량지원에 매년 1조원 이상을 쓸 여력이 있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의욕만 앞세우다가 우리 경제가 더욱 어려워지는 상황을 만들어선 안 된다. 도울 수 있는 한도내에서 지원해야 남북한이 함께 발전할 수 있다.

무엇보다 한반도 안정, 통일대비 비용이라는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북한이 갑자기 붕괴되고, 독일식 흡수통일이 된다면 남측이 지불해야 할 비용은 그야말로 천문학적이 된다. 북핵 상황이 악화됐을 때 한국의 신용등급이 낮아져 입게될 경제 손실도 막심할 것이다. 이러한 정황을 국민들에게 설명하고, 이해폭을 넓혀야 한다. 정파적 이해를 떠나야 대북 지원의 설득력이 높아진다. 주요 사항에 대해선 물론 국회 동의를 받아야 한다.

2005-09-24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