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광복60돌’ 민족문화운동 벌이자/오창수 익산보훈지청

[발언대] ‘광복60돌’ 민족문화운동 벌이자/오창수 익산보훈지청

입력 2005-08-08 00:00
업데이트 2005-08-08 08: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화국민운동을 벌이자고 하면 느닷없이 무슨 소리냐고 반문할 것이다. 광복 60주년을 맞아 내가 소원하는 그림을, 생각을, 그려보고자 한다.

문화국민운동이란 백범 선생께서 주창한 대한민국이 지향해야 할 지표다.

백범 선생은 문화민족으로 계승해온 우리의 문화를 국민들이 마음껏 향유하고 세계 만방에 문화대국의 위상을 떨치기를 소원했다.

백범일지에는 선생이 삼남지방을 순회하는 가운데 김제 만경들에서 신명나게 농악을 하며 논에서 공동으로 김매기를 하는 ‘두레’를 보며 나라 잃은 설움 속에서도 감명받았다는 대목이 나온다. 그러나 잃었던 나라를 되찾은 지 60년이 지난 지금 우리 농악문화의 현 주소는 어떠한가.

도시 외곽의 다리 밑에 ‘○○동 풍물놀이 연습장’식으로 내걸린 플래카드 문구에서 비애와 서글픔이 먼저 다가온다.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붉은악마가 앞장선 가운데 온 국민의 결집된 힘과 함성은 전 세계에 감동을 주었다. 경이로움의 대상이기도 했다.

이처럼 우리 국민은 누군가가 마음을 조금만 들썩거려 주기만 하면 바로 신명이 나는 문화권에서 살아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그렇지 못한 현실이 아쉽기만 하다.

국민들의 신명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일자리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일자리를 만들기 어렵다면 일자리 배분이라도 잘 해야 한다.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지 못하는 것은 국민 모두의 신명을 빼앗아가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렇다면 문화국민운동은 어떻게 해야 할까. 충효를 배우기 위해서는 이순신의 ‘난중일기’를, 목민관으로서 국민들을 어떻게 대하는가를 배우기 위해서는 다산의 ‘목민심서’를, 나라 사랑의 본보기를 배우기 위해서는 김구 선생의 ‘백범일지’를 온 국민이 읽고, 알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이들의 가르침 속에는 대통령에서부터 장관, 정치인, 법조인, 언론인, 교육자, 기업인, 근로자, 농어업인, 자영업자, 학생, 군인, 공무원 등 모든 계층의 국민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이 들어 있다.

다시 말하지만 올해는 광복 60주년을 맞는 뜻 깊은 해다. 우리 국민 모두 헛된 네탓 타령을 하기보다 저마다의 터전을 올곧게 닦고 이를 통해 나라를 바로 세우도록 하자. 참된 대한민국을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문화국민으로 거듭나도록 하자.

오창수 익산보훈지청
2005-08-08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