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모르는 유치원

불황 모르는 유치원

전경하 기자
입력 2005-08-08 00:00
업데이트 2005-08-08 07: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침체 장기화로 소비자들이 지갑을 꽉 닫고 있는 데다 출산율마저 세계 최저 수준인데도 불구하고 만 3∼5살 정도 어린이들이 다니는 유치원은 올들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마이너스 성장을 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구조조정이 추진되면서 유치원 수는 줄어들고 있으나 대형화·고급화로 부가가치 창출이 늘어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부모들은 교통사고 등을 우려, 한 곳에서 여러 과목을 배울 수 있는 통합형 유치원을 선택하거나 다소 비싸지만 영어로 수업하는 영어유치원을 선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대형 유치원을 중심으로 원스톱 서비스를 위해 학급 및 교사 수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통계청과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6월 유치원(유아교육기관)의 산업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늘어 3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유치원 산업은 지난해에는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했으나 지난 4월부터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에 따라 지난 2·4분기 유치원 성장률(매출액 증가율)은 3.7%로 2002년 4·4분기(8.2%) 이후 가장 높았다.

통계청 문권순 서비스업동향 과장은 “소규모로 운영되던 유치원들이 사라지거나 통합되면서 규모가 커지고 고급화되고 있는 데다 탁아 개념에 각종 교육활동이 더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아이들의 안전과 효율성을 위해

경기 분당에 사는 주부 민모(36)씨는 둘째(5) 유치원을 첫째가 다니던 곳을 골랐다. 유치원 비용이 한 달에 40만원으로 일반 유치원보다는 비싸지만 수영이나 미술 중 한 과목을 같은 유치원에서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민씨는 “여러 학원을 아이들이 찾아다니면서 겪는 스트레스나 교통사고 위험이 없고, 음악이나 종이접기 등 다른 활동을 원할 경우 돈만 더 내면 배울 수 있기 때문에 통합형 유치원을 선택했다.”고 이유를 밝혔다.

서울 강남에 사는 주부 황모(39)씨도 딸(6)의 영어유치원비로 한 달에 100만원을 쓴다. 황씨는 “이왕 아이를 맡기는데 영어도 함께 배우면 더 좋을 것 같다.”면서 “월 150만원이 드는 유치원에 보낼 생각도 해봤는데 한 달 수입의 6분의1 이상을 유치원비로 지출하는 것은 곤란할 것 같아 지금 유치원을 택했다.”고 말했다.

경기 평택에 사는 주부 이모(33)씨는 아들(5)의 영어유치원 비용으로 한 달에 40만원을 낸다. 수입에 비해 다소 비싼 편이지만 “집에서 영어 학습지를 시켜 봤는데 교사가 1주일에 한 차례씩 찾아오지만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아 아예 영어 유치원을 보낸다.”고 말했다.

줄어든 유치원, 늘어나는 학급

학부모들이 서비스가 뛰어난 유치원을 선호하다 보니 유치원 수는 줄어드는데 학급이나 교원 수는 늘어나고 있다. 유치원의 규모가 커지면서 과목이나 연령대에 맞춰 학급이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는 점도 한몫하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전국의 유치원 수는 2001년 8329개였으나 2002년 8308개,2003년 8292개,2004년 8246개로 계속 줄고 있다. 반면 학급 수는 2001년 2만 1158개에서 2002년 2만 1493개,2003년 2만 1839개,2004년 2만 2046개로 한 해에 200∼300개씩 늘어나고 있다.

2001년에는 유치원 한 곳당 평균 2.54개의 학급이 있었지만 2004년에는 2.67개로 늘어났다. 한 학급 또는 2∼3개 학급만 운영하는 유치원은 2001년 6346개로 전체 유치원의 76.2%를 차지했다. 그러나 2004년에는 5898개로 그 비율이 71.5%로 낮아졌다.

유치원의 교원 수도 늘어 2001년의 등록 인원은 2만 8460명이었으나 2004년에는 3만 206명으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유치원 한 곳당 교원 수도 3.42명에서 3.66명으로 증가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05-08-08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