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 인물들과 시간여행 떠나볼까

역사 속 인물들과 시간여행 떠나볼까

이순녀 기자
입력 2005-07-29 00:00
업데이트 2005-07-29 08: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번 여름휴가엔 역사소설의 매력에 빠져 보자. 유교사상을 다룬 최인호의 역사소설 ‘유림’이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과거로의 시간여행 길잡이 노릇을 자처하는 신간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잠 못드는 여름밤, 한 권의 역사소설로 더위를 잊어보는 건 어떨까.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의 베스트셀러 작가 김진명이 내놓은 살수(전 2권, 랜덤하우스중앙)는 300만명의 수나라 대군을 16만명의 고구려 군대로 격파한 을지문덕 장군의 이야기다. 소설은 중원을 통일하고 황제가 된 양견이 ‘동방의 군자국’으로 불리던 동북아의 강국 고구려에 전쟁을 선포하는 데서 시작한다. 태자 양용은 황제의 뜻에 따라 30만 대군을 혹독하게 훈련시킨다. 이런 와중에 첩자를 통해 전쟁이 일어날 것을 미리 알게 된 을지문덕은 수나라가 보낸 사신의 목을 베어 전쟁을 촉발한다.

작가의 출사표가 장엄하다. 그는 “동북공정의 한 가운데에서 앞을 다퉈 ‘삼국지’를 편역해 내고, 사회에서도 삼국지를 읽지 않으면 이단아나 저능아 취급을 당하는 상황을 깨고자 이 소설을 썼다.”고 밝혔다.

1795년 정조의 명을 받들어 유득공 주도하에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에 실린 이순신의 ‘난중일기’전서본은 이순신이 직접 쓴 초고본과는 내용이 다르다. 초고본에서 볼 수 있던 이순신의 인간적인 모습들이 전서본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김태훈의 소설 이순신의 비본(전 2권, 창해)은 이 점에 주목했다. 저자는 ‘이충무공전서’가 모종의 정치적 투쟁에 휘말려 서둘러 발간됐다는 가정하에 정조와 그의 뜻을 받든 지식인들이 ‘비본’을 숨겼다는 허구의 이야기를 역사적 사실과 접목시켜 흥미진진하게 풀어놓는다.

올해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한 조두진의 도모유키(한겨레신문사)는 1597년 정유재란 시기에 전라도 순천 인근 산성에 주둔한 일본 하급 지휘관 다나카 도모유키와 조선 여인 명외의 사랑을 그린 작품. 매일 사람이 죽어나가는 극한 상황에서 적과의 사랑을 다뤘으며, 이런 모든 상황을 왜군 도모유키의 시선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서로 말이 통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선말을 열심히 배우려는 도모유키, 중요한 순간에 함께 하자고 용기를 낸 명외의 모습은 국경과 나이 등 모든 장애 요인을 뛰어넘는 사랑의 위대함을 보여준다.

현대사로 넘어오면 한국계 마피아 대부의 일생을 다룬 이원섭의 실명소설 제이슨 리(전 2권, 랜덤하우스중앙)가 눈에 띈다. 제이슨 리는 알 카포네, 벅스와 함께 마피아위원회 3대 보스 중의 한 명이었고, 해방후 도쿄 극우파 야쿠자를 평정했다. 또 도산 안창호 선생 등 독립운동가에게 거액의 자금을 지원했던 인물이자 톱스타 에바 가드너, 그레이스 켈리와 스캔들을 일으킨 할리우드의 큰 손이다. 베일에 가려진 그의 드라마틱한 삶을 소설의 형태로 복원시켰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05-07-29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