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나는 과학이야기] 조상은 어떻게 별자리 살폈나

[신나는 과학이야기] 조상은 어떻게 별자리 살폈나

입력 2005-07-21 00:00
업데이트 2005-07-21 08: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이 몇 개일까.

경기도 여주 영릉(英陵)에 가면 그 해답이 있다.

영릉은 조선 제4대 왕이자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과 왕비 소헌왕후가 나란히 잠들어 있는 합장릉이다. 조선 임금들의 능 가운데 가장 넓고 잘 정비돼 있다. 영릉 정문으로 들어서면 먼저 드넓은 잔디밭과 울창한 소나무 숲이 반긴다. 오른쪽으로는 재실과 세종대왕 동상이, 왼쪽으로는 기념관인 세종전이 자리잡고 있다.

이미지 확대
여주 영릉에 전시되어 있는 간의.
여주 영릉에 전시되어 있는 간의.


특히 세종전 주변에는 당시의 과학기술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는 다양한 천문 관측기기 발명품들이 전시돼 있다.

이중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1467개의 별과 282개의 별자리를 하나의 동심원 평면 위에 그린 과학적인 천문도이다. 남극 주위의 별들을 제외하고 온 하늘의 별자리를 돌에 새긴 것으로 중국의 ‘순우 천문도’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오래된 귀중한 과학유물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천구 상에서 별자리의 표준적 위치를 명확하게 보여줌으로써 별을 관측하는 당시 천문관원들에게는 교과서와 같았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천상열차분야지도
천상열차분야지도
영릉에서 시선을 사로잡는 보물들은 또 있다. 앙부일구(仰釜日晷)는 세종 19년(1437년)에 만들어져 가장 널리 사용되던 해시계의 일종이다. 이 해시계는 덕수궁 궁중유물전시관에 전시중인 앙부일구(보물 제845호)를 본떠 오늘날의 시간제도를 적용, 제작한 것이다. 앙부일구는 솥을 받쳐 놓은 듯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그림자가 생기는 면이 오목해 ‘오목 해시계’로도 불린다. 앙부일구의 영침(影針)을 주욱 연결하면 천구 북극을 향하며, 영침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는 그 지방의 위도에 해당한다. 또 영침의 그림자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동지에서 하지에 이르는 24절기와 그때의 시각을 알려준다.

앙부일구보다 4년 앞서 만들어진 혼천의는 천체 위치측정기로 일월오행성(日月五行星)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쓰였다. 혼천의는 관천대에 올려놓고 밤하늘의 별자리를 관측했다고 한다. 간의(簡儀)는 혼천의의 복잡한 구조를 간소화한 것으로 당시 중국의 역법이 우리 실정에 맞지 않아 이를 바로잡은 것이다. 간의는 조선의 천문대인 서울 경복궁 간의대에 올려져 지상 물체의 방위와 고도를 측정하는데 활용됐다.

이미지 확대
한은주 숭인중 교사
한은주 숭인중 교사
천상열차분야지도 등을 둘러보고도 무언가 부족하다면 조선시대의 자명종인 자격루(自擊漏)와 측우기 등도 감상해 봄직하다. 자격루는 물과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자동적으로 시간을 알려주는 물시계로 장영실이 고안한 것이며, 측우기는 세종의 아들 문종이 개발한 우량계이다.

이곳 영릉에서 볼 수 있는 천문 관측기기들은 대부분 진품이 아니라 이를 본떠 제작한 것이지만 실내 박물관 전시품들에 비해 야외 공간에서 보다 가까이 접할 수 있어 과학 체험의 장으로 부족함이 없다. 조선시대 천문 관측기기의 정교함과 예술성을 느껴보고 싶지 않나요?
2005-07-21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