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신부들 정착 도와야 한국농촌 붕괴 막을수 있어”

“베트남 신부들 정착 도와야 한국농촌 붕괴 막을수 있어”

조태성 기자
입력 2005-07-14 00:00
업데이트 2005-07-14 08: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베트남에서 한국드라마가 인기라면 한국에서는 베트남여성이 인기다. 같은 유교문화권 때문인지 순종적이고, 외모에서 별 차이가 없다는 게 중요한 이유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결혼하러 한국에 온 베트남 여성은 2462명.2001년 134명에 비해 크게 늘었다. 물론 숫적으로는 1위 중국(1만8527명)과 차이가 많은 2위다. 그러나 중국 여성 대부분이 한국 말과 문화에 익숙한 조선족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베트남 여성이 가장 많다.

이미지 확대
하밍타잉
하밍타잉


이는 시내 곳곳에 내걸린 현수막 광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현수막 광고문구들을 보면 그냥 웃어 넘길 수 없는 것들이 많다.‘젊고 예쁜 애를 데리고 살라.’‘6개월쯤 살아보다 마음에 안들면 갈아치워라.’거나 ‘집 잘 본다.‘‘도망 안 간다.’는 식의 표현이 버젓이 적혀 있다. 결혼인지 인신매매인지 구분이 안 될 지경이다. 이같은 베트남 여성의 문제를 파고든 논문이 처음 나왔다. 서울대 국제대학원 석사 학위논문으로 베트남 여성 하밍타잉이 제출한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가 그것. 무엇보다 발품 팔아가며 한국에 사는 베트남 신부 80명을 직접 심층 인터뷰한 연구결과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논문에 따르면 베트남 여성들이 한국행을 결심하는 데는 코리안 드림이나 경제적 이유, 한류와 같은 것들이 크게 작용했다. 그러다보니 보통 한국 남성들과 나이가 10살 이상 차이나는 경우(85%)가 대부분이었고 20살 이상 차이나는 경우도 15%나 됐다. 한국남성에 대한 가장 큰 불만은 역시 폭언(35%)이었다. 가장 절실한 것은 한국어와 한국풍습을 익히고 싶다는 것(50%)이었다.

곧 귀국해 국립하노이대에서 강의하다 한국문학 공부를 위해 다시 한국을 찾을 계획인 하밍타잉을 서울 신림동 한 찻집에서 만났다.

▶인터뷰하는 데 어려움은 없었나. 남편이나 시어머니는 싫어했을 것 같은데.

-어려움은 별로 없었다. 외려 환영받았다. 좋은 관계든 나쁜 관계든 말이 안통하는 마누라, 며느리와 속 시원하게 말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부탁이 많았다. 그 뒤로도 문제가 생기면 연락을 해 도움을 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베트남 여성들이 제일 원하는 것은 무엇이었나.

-역시 한국어를 빨리 깨치는 것이었다. 한국어능력시험을 통해 국적취득을 앞당기는 정책을 시행하면 교육의 동기부여나 주변 협조와 도움 측면에서도 더 좋을 것이라는 제안을 많이 했다. 또 일하고자하는 욕구 때문에 기술교육도 많이 원했다. 그러나 베트남 여성을 맞이하는 한국 남성은 대개 경제나 교육 수준이 낮아서 이런 문제들을 제대로 이해못한다. 내가 널 돈 주고 사왔으니 애나 놓고 집이나 보라는 식이다. 도망갈까봐 일부러 안 가르치는 경우도 있었다.

▶역시 가부장 문화가 걸림돌인가.

-그렇다. 같은 동양인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베트남 여성들은 사회주의 영향으로 남녀평등에 익숙하고 가족끼리의 시간을 중시한다. 그러니 집안 일만 하라는 한국남성의 요구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베트남여성 가운데 자기 명의의 통장을 소유한 사람은 5%에 불과했다.

▶문제를 풀 수 있는 해결책은 없나.

-무엇보다 한국이 ‘한국의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줬으면 한다. 붕괴되고 있는 농촌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 한국이 정부차원에서 개입해야 한다면 베트남 여성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한국인 남편은 일하러 나가고, 한국에 대해 전혀 모르는 베트남 여성이 아이를 키운다고 생각해보라. 한국으로서도 좋은 일이 아니지 않은가.

하밍타잉은 그나마 자신의 인터뷰에 응해준 베트남 여성들은 사정이 낫다는 점을 강조했다. 알음알음으로 인터뷰 대상자를 물색했는데 이들이 섭외됐다는 것이다. 뒤집어 얘기하자면 인터뷰 대상자들은 그래도 베트남사람들끼리 어느 정도 친분을 가지면서 타국살이의 고달픔을 씻어왔다는 말이 된다. 그러나 80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여전히 알 수 없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05-07-14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