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대 세계최초 ‘군사학’ 학사학위 인정

대전대 세계최초 ‘군사학’ 학사학위 인정

조태성 기자
입력 2005-06-23 00:00
업데이트 2005-06-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rt of War’. 같은 제목의 영화까지 개봉된 터라 알 만한 사람은 다 알겠지만 손자병법의 영문 표기다. 여기서 눈에 띄는 점은 兵‘法’인데도 영문으로는 ‘Science’가 아닌 ‘Art’로 표기됐다는 사실이다. 어떤 법칙적인, 학문의 연구대상이 되는 무엇이라기보다는 현장에서 그때 그때 응용가능한 기술이나 처세술적인 성격이 짙다는 생각이 반영된 결과이다.

아직은 생소한 ‘군사학’은 여전히 이런 시각에 얽매여 있다. 한마디로 학문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어떻게 사람 죽이는 방법을 학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느냐.’는 점잖은 훈수까지 끼어든다.70년대말 ‘자주국방’ 개념과 함께 군사학의 정립이 논의된 지 30여년이 됐으나 우리나라 사관학교의 교육과정에서 군사학은 여전히 이론보다 실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여기에는 지나치게 경직된 우리의 군문화가 개입하고 있다는 설명도 있다. 조금 심하게 말해서 여전히 ‘짬밥순’이 절대적인 군에서 젊은 장교들이 군사학 어쩌고 떠들어 대는 것을 곱게 받아들일 고위급 지휘관들이 몇이나 되겠느냐는 지적이다. 지난해 3사관학교 한 졸업생이 “군은 아무런 문제의식이 없다.”며 임관을 거부하고 항명죄로 처벌받은 것도 크게 봐서 이런 군문화가 반영된 사례라는 비판도 있다.

그러나 최근 변화의 바람이 서서히 불고 있다. 대전·충남권을 중심으로 군사학이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 대전대·대덕대·충남대 등이 학부나 대학원 과정을 개설했다.2004년 군사학과를 만든 대전대가 군사학 ‘학사학위’를 인정한 것은 세계 최초의 사례다. 충남대 평화안보대학원은 올해 처음으로 석사학위자들을 배출했다.

첫 걸음은 뗐지만 풀어야 할 숙제는 많다. 부대 운용과 지휘권에 그치느냐,‘전쟁과 평화’까지 확장하느냐를 둘러싼 군사학의 범위 논란은 여전하다. 또 남북 대치상황 등으로 인해 군이 지나칠 정도로 보안에 얽매이다 보니 자료가 부족하다는 점도 연구의 걸림돌이 된다. 여기다 아직까지는 민간인보다 현역 군인이나 예비군 연구자가 많은 것도 한계로 지적된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05-06-23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