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위해 일한 배설 기억해야”

“한민족 위해 일한 배설 기억해야”

입력 2005-05-26 00:00
업데이트 2005-05-26 0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의 수백마디 말보다 대한매일신보의 한줄 글이 더 위력있다.”

이토 히로부미가 대한제국기 대한매일신보를 두고 탄식하며 한 말이다. 이토가 탄식한 데는 이유가 있다. 을사늑약 체결 뒤 고종황제의 직인이 없다는 점을 제일 먼저 지적한 신문이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박은식·양기탁 선생 같은 민족주의 필진은 날카로운 붓을 휘둘렀다. 물론 대한매일신보가 그럴 수 있었던 것은 고종의 은밀한 지원과 창간자 어니스트 베델(한국명 배설)이 영국인이어서 마음대로 건드릴 수 없었다는 점이 작용했다.

이런 배설 선생을 기념하기 위해 27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합정동 ‘양화진 성지공원’에서는 서거 96주년 기념행사가 마련된다. 이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배설선생기념사업회 진채호(77) 회장을 만났다.

기념사업회는 올해 사업으로 베델·박은식·양기탁 선생의 동상과 기념관을 짓고, 내년에는 ‘세계언론평화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엷어져가는 관심 때문에 속이 상한다고 했다.“백범 김구 선생 기념에는 국가가 이런 저런 지원을 합니다. 임시정부의 법통을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박은식 선생 같은 분은 백범 이전에 국무령 등을 지내셨습니다.‘법통’을 제대로 생각한다면 이분들도 기념해야죠.”

그래도 조금씩 변화의 기미를 보이는 것이 힘이 된단다.27일 행사에는 김원기 국회의장의 기념사도 낭독된다. 대통령 화환도 처음으로 올 예정이다.

“잘 몰랐는데 대통령 화환이란게 받기 어려운 것이더군요. 아마도 정부쪽에서도 기념관 건립 등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는 증거가 아닐까요.”

배설은 알려져 있다시피 영국 크로니컬지 기자로 러일전쟁 취재차 한국에 들렀다. 당시 부동항을 얻으려는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 일본과 영국은 동맹을 맺은 상황. 배설은 당연히 일본 편을 들어야 했다. 그러나 한반도의 상황을 보고서는 1904년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했다.

진 회장이 배설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의외로 간단했다.“비록 외국인일지라도 한국에 공헌한 사람에 대해서는 오랜 시간이 흘러도 기억 해준다는 게 우리의 자존심과 위상을 드높이는 일입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05-05-26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