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신문하프마라톤 스타트…이색 참가단체 포부

22일 서울신문하프마라톤 스타트…이색 참가단체 포부

입력 2005-05-21 00:00
업데이트 2005-05-21 1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2일 서울 상암동 월드컵공원에서 열리는 제4회 서울신문 하프마라톤 대회에는 멀리 마산교도소 보라미 마라톤 동호회와 정신지체장애인인 인천시 부평6동 예림원 원생 8명이 참가해 ‘함께하는 마라톤 대회’의 의미를 더한다.

삶에 활력… 스트레스 싹~

‘보라미 마라톤 동호회’는 교도관이라는 직업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생활의 활력을 얻기 위해 출범했다. 서울신문 하프마라톤대회에 회원 19명이 출전, 기량을 뽐낸다.

마산교도소 보라미마라톤 동호회원들이 19일 새로운 기록도전에 대한 전의를 불태우고 있다.
 마산교도소제공
마산교도소 보라미마라톤 동호회원들이 19일 새로운 기록도전에 대한 전의를 불태우고 있다.
마산교도소제공
교도관은 근무여건이 열악해 각종 성인병 발병률이 일반 직장인에 비해 높고, 평균 수명도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평소 마라톤으로 건강을 다지던 교도관 15명이 지난 2003년 4월 뜻을 모아 마산보라미 마라톤 동호회를 결성했다. 현재 회원은 53명. 이들 중 풀코스(42.195㎞) 완주자가 20명이고, 하프코스 완주자도 15명이나 된다.

이들의 목표는 ‘SUB-3’. 아직 성공한 사람은 없다. 회원 중 최고 기록은 최기진 교사가 보유한 3시간 8분이다. 하프기록은 김종득 교사가 1시간 24분으로 가장 좋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이들은 매주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토요일 오후에는 무학산과 광려산에서 산악·임도 훈련코스에서 26㎞를 달린다. 김영복 회장은 “마라톤은 건강증진은 물론 자기만의 정신적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고 자랑했다.

마산 이정규기자 jeong@seoul.co.kr

장애 딛고 ‘말아톤’ 신화…

“겨울 동안 몸이 근질거려 하루빨리 마라톤이 열리기를 고대했습니다.” 서울신문 하프마라톤에는 정신지체장애인 시설인 인천시 부평6동 ‘예림원’ 원생 8명이 참가,‘말아톤’신화에 도전한다. 이들은 참가 자체에 의미를 두는 수준을 벗어나, 이미 마라톤에 심취해 있는 ‘마니아급’이다.

인천시 부평6동 예림원 원생들과 선생님들이 20일 완주를 다짐하며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인천 강성남기자 snk@seoul.co.kr
인천시 부평6동 예림원 원생들과 선생님들이 20일 완주를 다짐하며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인천 강성남기자 snk@seoul.co.kr
2001년 예림원 내에 마라톤동우회가 발족한 이래 회원으로 활동해온 이들은 많게는 3∼4회, 적게는 1∼2회 마라톤에 도전했다. 지역 대회가 주무대였다. 기록도 10㎞를 기준으로 1시간 10∼20분으로 일반인에 비해 크게 뒤지지 않는다. 원생중 김영수씨는 2003년 9월 열린 대회에서 42.195㎞를 4시간 15분 35초에 뛰었다.

이들은 이번 대회를 위해 많은 준비를 했다. 매주 화·금요일 인천마라톤클럽 회원 안병일씨의 지도로 동수초등학교와 부평공원 등에서 맹연습을 했다. 참가 원생 8명 가운데 4명이 여성인데 남성들과 똑같이 연습을 했다.

이들 가운데 기량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이화식(31) 장송이(30·여) 김영수(32) 강화숙(32·여) 이현경(20·여)씨 등은 10㎞에, 변일매(35·여) 김사철(27) 김동선(33)씨 등은 5㎞에 각각 도전한다.

원생 외에 예림원 교사 3명과 안씨 등 자원봉사자 2명이 이번 대회에 참석해 원생들과 발을 맞춘다. 교사 가운데 홍원숙(40)씨를 제외한 2명은 이번이 마라톤 첫 출전이어서 오히려 원생들에게 뒤지지 않을까 걱정할 정도다. 원생들은 그동안 그룹을 지어 달렸지만 이번에는 실력대로 차이를 두고 달리기로 했다. 기록으로도 한번 일을 내겠다는 태세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05-05-21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