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정부, 시위대 방조… 외교카드 활용”

“中정부, 시위대 방조… 외교카드 활용”

입력 2005-04-19 00:00
업데이트 2005-04-19 07: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신들은 중국에서 3주째 계속된 주말 반일시위를 배경과 함께 비중있게 다뤘다. 일부 외신들은 중국이 통제사회인 점을 지적하며 정부의 ‘방조’는 지역 패권 다툼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속내를 담고 있다고 분석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는 18일 “중국 전역에서 일어난 반일시위는 과거 같았으면 계획만으로도 체포감”이라며 “때문에 (중국)정부가 배후에서 시위를 조종하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동시에 시위가 폭력화하는 것은 중국 정부가 고조되는 주민들의 반일감정을 통제하지 못하고 있다는 징후일지 모른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중국 정부가 반일시위를 지역 외교주도권 쟁탈전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데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독일 공영 ARD방송은 “중국인들의 격렬한 반일시위는 일본의 전쟁범죄 규명 미흡에 대한 정당한 대응이지만, 배경에는 중·일간 아시아 패권 다툼이 자리잡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의 프레드 하이야트 주필은 18일자 기명 칼럼에서 오히려 과거 역사에 대한 중국의 이중잣대를 비난했다. 하이야트는 “중국은 자국 교과서에 대약진운동 당시 3000만명이 굶어 죽었고,1989년 톈안먼사태 때 사망자가 발생한 사실은 물론 티베트 침공(1950년), 베트남 공격(1979년)을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 뒤 역사에 대한 공개 논쟁이 불허된 중국보다는 공개 토론이 허용된 일본에서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했다.

한편 반일시위가 휩쓸고 간 뒤 상하이에 사는 외국인들이 동요하고 있다. 한 미국인 강사는 “국가간에 신경전을 펼 수는 있지만 이를 빌미로 자국에 사는 외국인들을 공격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분개했다.

김균미기자 외신 kmkim@seoul.co.kr

2005-04-19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