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고기 사라진 바다, 대책 이 정도인가

[사설] 물고기 사라진 바다, 대책 이 정도인가

입력 2005-04-08 00:00
업데이트 2005-04-08 06: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근해 어장에 물고기가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원인이야 다양하겠지만 우선 기후변화에 따라 회귀어종이 감소하고, 생태환경을 무시한 마구잡이 개발로 어·패류의 산란장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치어(稚魚)의 남획과 폐그물·통발 같은 것을 마구 버려 물고기가 살 수 없을 정도로 바다환경이 악화됐다고 한다. 그러니 연근해 어획량이 1996년 162만t에서 해마다 감소해 지난해에는 107만t으로 격감했고, 그 바람에 고기잡이로 생계를 꾸려가는 어업인들의 수입도 크게 줄었다고 한다.

사정이 이렇게 된 데는 우선 어업인들의 책임이 크다 할 것이다. 기후변화에 의한 해양생태계의 변화는 손을 쓰기 어렵겠지만, 생산터전이나 다름없는 바다에 어구를 마구 버린 것은 인재(人災)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바다쓰레기의 80%나 되는 폐그물은 물고기의 무덤이 돼서 바다오염을 확산시키는 주범이다. 더구나 지금은 어선이 동력화되어 연안어업 영역이 12해리 정도로 늘어나 어구 투기에 따른 피해지역이 더욱 광범위해지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관계 공무원들이 어선을 일일이 따라다니면서 감시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연안어장의 쓰레기는 40만t으로 추산되며, 연간 100억원의 예산으로 2600t 정도를 수거한단다. 이런 추세라면 수거하는데만 족히 150년은 걸릴 판이다. 정부가 내년부터는 관련 예산을 서너배 더 늘려 바다쓰레기 수거기간을 앞당기겠다는데, 이걸로는 백년하청일 수밖에 없다. 교통소통을 위해 고속도로 몇십㎞만 건설하려 해도 조단위의 돈이 투입된다. 도로건설보다 지금은 연안바다의 청소가 더 시급해 보인다.
2005-04-08 3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