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밤 길이 같은 날은 17일

낮·밤 길이 같은 날은 17일

입력 2005-03-17 00:00
업데이트 2005-03-17 07: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춘분인 오는 20일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는 낮의 길이가 8분가량 더 길다.

이미지 확대
춘분을 포함한 24절기는 태양이 하늘의 어느 위치에 있느냐를 표시한 것이다. 태양은 하늘을 한바퀴 돈 뒤 제자리로 돌아오는 일(겉보기 운동)을 반복한다.‘하늘의 적도’(지구의 적도를 하늘로 확대한 가상의 적도)와 ‘황도(태양이 1년간 지나는 길)는 서로 지구의 기울기만큼인 23.5도 기울어져 있는데, 춘분은 하늘의 적도와 황도가 일치하는 시기다. 따라서 춘분은 태양이 적도 위를 지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야 한다.

그러나 춘분에 밤보다 낮이 긴 이유는 낮과 밤의 길이를 재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낮과 밤은 각각 일출에서 일몰, 일몰에서 일출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보통 일출·일몰은 태양의 윗부분이 수평선 또는 지평선에 닿는 시각을 기준으로 삼지만, 춘분은 태양의 중심과 일치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한다. 결국 태양의 반지름만큼 오차가 생기게 되며, 실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은 춘분 3∼4일 전이다. 추분에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또 지구가 받아들이는 태양 에너지만을 고려하면 춘분과 추분의 기온은 비슷해야 한다. 그러나 서울의 평균 기온은 춘분 6∼7도, 추분 19∼20도 등으로 10도 이상 차이가 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춘분은 추운 겨울을 난 뒤 기온이 차츰 올라가면서 따스하게 느껴지는 반면, 추분은 무더운 여름을 지난 터라 서늘하게 느껴진다. 이는 사람의 체질 탓이라 할 수 있다.

춘분을 지난 직후는 1년중 기온 상승 폭이 가장 큰 시기이다. 이 때문에 농가에서는 춘분을 농경일로 삼아 1년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초경, 즉 초벌 논밭갈이에 나선다.

그러나 춘분 무렵에는 ‘화투연바람’ 또는 ‘꽃샘바람’이라 불리는 매섭고 차가운 바람이 많이 분다.‘2월 바람에 큰 독이 깨진다.’는 등의 속담도 여기서 비롯됐다. 때문에 농부와 달리 어부들은 고기잡이를 잠시 중단하는 시기다.

우리 조상들은 24절기중 첫번째인 입춘을 봄의 시작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천문학자들은 입춘과 대동강 물이 녹는다는 우수,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깨어난다는 경칩을 거쳐 밤보다 낮이 길어지는 춘분을 지나야 비로소 봄이 됐다고 여긴다. 이제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봄이 문턱에 다다른 셈이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5-03-17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