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찾아 80리… 야생삵 ‘팔팔이’ 비운의 로드킬

고향찾아 80리… 야생삵 ‘팔팔이’ 비운의 로드킬

입력 2005-02-28 00:00
업데이트 2005-02-28 09: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향 찾아 팔십리, 나흘 뒤 죽음’ 영화·드라마 및 소설 속에서나 있을 법한 일이 야생 동물의 세계에서도 생생히 그려졌다. 더욱이 문명의 이기를 만든 인간에 의해 저질러져 슬픔을 더해준다. 로드킬(road-kill)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인 야생 삵,‘팔팔이’는 이처럼 한(恨) 많은 생을 마감했다. 팔팔이는 마지막 숨을 거두면서 인간을 얼마나 미워했을까.

이미지 확대


팔팔이가 맨 처음 사고를 당한 때는 2004년 12월16일. 전북 남원시 운봉읍 지리산 국립공원 북쪽 88고속도로 위에서다. 소형트럭에 치여 기절했으나 한국도로공사 순찰팀의 응급구조로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다.

이어 순찰팀은 전남 구례에서 활동 중인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로드킬 실태조사팀에 연락해 팔팔이를 넘겼다. 순천 야생동물구조센터로 옮겨져 진단한 결과 팔팔이는 전형적인 뇌진탕 증세를 보였다. 이 때문인지 치료를 계속 받아도 야성(野性)을 잃고 온순하기만 했다.

이미지 확대
그러나 ‘지성이면 감천’이라 했던가. 퇴원 후 조사팀의 극진한 보살핌을 받은 팔팔이는 서서히 기력을 회복하기 시작했다. 본격적인 치료 및 재활훈련에 잘 적응한 것이다. 팔팔이는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듯했다. 조사팀은 지난달 10일 지리산 남서쪽 자락에 팔팔이를 방사했다. 혹시 무슨 일이 생길까봐 팔팔이의 목에 ‘전파발신기’ 목걸이를 채웠다.

그 뒤 팔팔이는 고향을 찾아 북진(北進)을 하기 시작했다. 남원과 구례를 가르는 해발 700m의 밤재를 넘어 지난 10일에는 애초 사고를 당했던 고향에 도착했다. 낯 익은 산천은 팔팔이의 독무대였다. 망원렌즈에도 마음껏 뛰노는 팔팔이의 모습이 그대로 잡혔다.

전파발신기의 신호음이 끊긴 것은 그로부터 나흘 뒤인 14일. 산산이 부서진 팔팔이의 사체는 처음 사고를 당했던 그 장소에서 발견됐다. 팔팔이의 비보를 접한 조사팀은 아무 말도 못하고 망연자실했다.

박은호기자 unopark@seoul.co.kr
2005-02-28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