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건설사 ‘M&A무방비’

대형건설사 ‘M&A무방비’

입력 2005-01-22 00:00
업데이트 2005-01-22 07: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업 인수·합병(M&A)을 앞둔 대형 건설업체들에 ‘기업 사냥꾼’ 경계 비상이 걸렸다.

외환위기 이후 쓰러졌던 업체들의 경영이 정상화되면서 채권단이 본격적으로 매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대상 건설사들은 적대적 M&A를 피하기 위해 회사 차원에서 건전한 자본가를 찾는 한편 우리사주조합 등에 의한 인수·합병을 꾀하고 있다. 남광토건이나 한신공영처럼 무일푼 기업 사냥꾼의 먹잇감이 되는 전철을 더이상 밟지 않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하지만 현행 법테두리 안에서 적대적 M&A를 가려낼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매각작업이 가시화되면 검은 자본이 대거 달려들 것으로 전망된다. 자칫 남광토건이나 한신공영 사태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매각 앞둔 건설사, 적대적 M&A에 무방비 노출

매각 절차를 밟을 것으로 예상되는 굵직굵직한 업체는 현대·대우·쌍용·청구 등이다. 외환위기 이후 나름대로 뼈를 깎는 노력으로 회사가 정상화의 길을 걷고 있다. 수주·매출이 증가하고 당기 순이익을 내는 등 재무 상태도 개선됐다. 하지만 채권단에 넘어간 이상 채권회수를 위해 공개 매각 절차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건설은 내년 3월이면 채권단과 맺은 경영협약이 끝난다. 올해 연말부터는 채권단이 경영협약을 연기하거나 매각을 결정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국내 최대 건설사로 경영상태가 좋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적대적 M&A를 노린 검은 자본에는 더없는 먹잇감이 될 수밖에 없다.

대우건설은 채권단이 이미 M&A를 통한 매각 방안을 내놓았다. 업계에서는 악성 ‘브로커’들이 모두 대우빌딩 주변에 몰려있다고 할 정도다. 대우 노조는 적대적 M&A를 통한 헐값 인수를 막기 위해 사원들이 적극 나서서 우리사주조합 형태의 인수까지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덩치가 워낙 커 우리사주조합이나 국내 소규모 자본이 인수에 참여하기가 어렵고 검은 자본의 교묘한 전략전술에 휘말릴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쌍용건설도 사원들이 인수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으나 대규모 검은 자본 앞에서는 속수무책 당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남광토건 전철 우려돼

남광토건이 기업 사냥꾼에 걸려든 대표적인 사례. 전 직원의 뼈를 깎는 노력을 바탕으로 2003년 우량 회사로 다시 태어나자마자 채권단은 매각 절차를 밟았다. 건전한 자본이 투자됐다면 곧 정상화의 길을 걸을 수 있는 회사였다.

하지만 이 회사는 기업 사냥꾼에 불과한 골든에셋플래닝 컨소시엄에 넘어갔다. 과정이 교묘하게 이뤄지는 바람에 채권단이나 사원 모두 속았다가 지난해 10월 당시 대표이사 이희헌씨의 회사돈 횡령 사건이 터지면서 전모가 드러났다. 결국 어렵게 살려낸 회사는 다시 신용 등급이 추락하고 수주가 감소하는 등의 어려움에 처하게 됐다.

검은 자본의 실체는 대부분 건설업 경영과는 무관한 일시적 자금이다. 빼먹을 가치가 있는 회사라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일단 집어삼킨 뒤 웃돈을 붙여 되판다는 생각으로 덤벼든다. 우리사주조합이나 건전한 자본의 참여를 막기 위해 흔히 높은 가격을 제시, 우선매각협상자의 지위를 얻은 뒤 실사를 통해 값을 후려쳐 헐값에 매입하는 수법이 동원된다.

김영진 M&A연구소의 김영진 소장은 “M&A시장에 나올 건설사들이 남광토건의 전철을 밟지 말라는 법이 없다.”면서 “노조나 사주조합 등이 아무리 나서도 검은 자본의 교묘한 전략·전술을 따라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찬희기자 chani@seoul.co.kr
2005-01-22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