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화제] 서울대 ‘이웃 곁으로’

[주말화제] 서울대 ‘이웃 곁으로’

입력 2005-01-15 00:00
업데이트 2005-01-17 1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가 몸담고 있는 공동체로 눈을 돌리자.” 서울대가 조용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사회와의 벽을 허물고 거리를 좁히는 데 안간힘을 쏟고 있다. 학교 차원에서 처음으로 ‘서울대 봉사단’을 꾸리고, 지역의 소외계층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에게는 경비를 지원한다. 올들어 에티켓 강의를 신설하는 한편 관내 경찰서·구청 등과 상시교류 채널도 마련했다. 서울대 측은 “상아탑에 갇힌 수재보다 공동체에 도움이 되는 시민을 양성하는 쪽으로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자는 자성의 목소리가 거세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사랑의 집짓기 봉사단으로 선발돼 지난 12일…
사랑의 집짓기 봉사단으로 선발돼 지난 12일… 사랑의 집짓기 봉사단으로 선발돼 지난 12일 필리핀 마닐라로 떠나기 전 인천국제공항에 모인 서울대생들.


소외계층 돕기 프로그램 신설

지난 12일 오전 6시 인천국제공항 G게이트 앞에는 4.7대 1의 경쟁률을 뚫은 ‘사랑의 집짓기 서울대 봉사단’학생 28명이 이야기 꽃을 피우고 있었다.

지난해 10월 말 학교측이 봉사단원 모집공고를 내자 2주 동안 재학생 131명이 몰린 것. 학교측은 지원동기와 봉사경력 등을 심사해 단원을 뽑았고, 항공료를 비롯한 경비 3500만원을 모두 지원했다. 이들은 필리핀 마닐라에서 땅 파고, 벽돌 쌓고, 못질하는 봉사활동을 하고 있으며,22일 귀국한다. 서울대가 자체적으로 봉사단을 파견하고, 경비 일체를 부담한 사례는 지금까지 없었다.

“따뜻한 카리스마를 갖추자”

정운찬 총장은 지난해 12월17일 발대식에서 “서울대인은 그동안 사회적 책임 부분에서 부족한 면이 있었다.”고 자성하고 “지금부터라도 남들이 믿고 따를 수 있는 따뜻한 카리스마를 갖춰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단원들을 격려했다. 봉사단 팀장을 맡은 언어학과 4년 최원우(28)씨는 “개인적인 성취감만 좇으며 살았는데, 봉사를 통해 친구들과 성취감을 나눌 수 있어 흐뭇하다.”면서 “봉사단에 뽑히지 못해 아쉬워하는 친구들이 많다.”고 말했다.

서울대는 또 올해부터 ‘관악구 주민을 위한 봉사활동’을 신설,1차로 11개팀 150여명으로부터 신청을 받았다. 학교측은 소외계층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과 계획서를 학생들로부터 받아 심사하고 있으며, 선정된 팀들에게는 모두 3000만원의 경비를 지원한다.

‘매너짱’강의 새로 만들어

변화의 바람은 강의실에도 불고 있다. 서울대는 새학기부터 에티켓과 매너를 가르치는 수강정원 160명의 ‘자아개발 프로그램’을 신설했다.1학점짜리 교양과목이지만, 기업체를 찾아가 현장 분위기를 익히고, 국제회의 진행가나 시민운동가를 초빙해 강의를 듣는다.

임현진 기초과학연구원장은 “화합할 줄 알면서 자아를 실현시키는 서울대생을 만드는 것이 강좌의 취지”라면서 “에티켓 교육에 학점을 부여하는 것은 국립대 최초의 시도”라고 밝혔다.

구청·경찰서 자문위원회 마련

지역사회와 벽도 허문다. 지난해 11월에는 교수들을 주축으로 관악구청과 관악경찰서가 참여하는 자문위원회가 처음으로 꾸려졌다. 관악 구정발전 자문위원에는 수의대 황우석 석좌교수 등 11명, 경찰서 자문위원에는 법대 박정훈 교수등 6명이 참여하고 있다.

윤병갑 관악경찰서 정보계장은 “집회와 시위에 관한 법률 등 까다로운 법률 내용에 대해 수시로 문의하고, 조언을 받고 있다.”고 귀띔했다.

또 이호인 부총장과 황우석 교수 등은 지난 연말 지역 민간보육시설 등 불우시설을 방문, 컴퓨터 77대를 전달하기도 했다.

이미나 학생처장은 “시대상황의 변화에 따라 서울대가 지역 사회에 뿌리를 내리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실감하고 있다.”면서 “교수와 학생 모두 보람도 크다.”고 말했다.

글 사진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05-01-15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