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세난 확산 조짐

역전세난 확산 조짐

입력 2004-12-06 00:00
업데이트 2004-12-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동산경기 침체 여파로 내년의 아파트 입주물량이 크게 증가, 올 하반기 서울·수도권에서 나타났던 역(逆)전세난이 지방으로 확산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분양시장이 과열을 빚고 있는 부산지역은 내년에 입주대란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돼 ‘거품 논란’ 조짐마저 일고 있다.

입주물량 과다, 역전세난 지속

올해 전체 입주 물량은 지난해까지 20만가구에서 30만가구대로 증가, 서울·수도권에서 집주인이 세입자를 찾지 못하는 ‘역전세난’과 신규 입주 아파트에 입주를 하지 않아 빈집이 늘어나는 ‘입주대란’이 빚어졌다.

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주택시장이 호황이던 2001∼2003년에 분양됐던 아파트가 속속 입주를 시작하면서 내년 전국의 입주예정 아파트는 올해(30만 9822가구)와 비슷한 30만 5284가구에 달할 전망이다.

99년 34만 5000여가구였던 입주 물량은 외환위기 여파로 2000년 28만 3000여가구,2001년 22만 7000여가구,2002년 26만 9000여가구,2003년 27만 6000여가구 수준을 보였다.

업계는 내년에 서울·수도권은 입주물량이 다소 감소해 사정이 나아지겠지만 지방의 경우 입주 물량이 증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울산(5802가구,9.5% 하락)을 제외하고 인천 2만 1009가구(19.1% 증가), 부산 3만 892가구(6.6% 증가), 대구 1만 3227가구(36.4% 증가), 대전 1만 924가구(30.6% 증가), 광주 7383가구(83.6% 증가)가 각각 입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 입주대란 조짐속 분양과열

부산의 경우 현재 신규 아파트 입주율이 50∼60%에 그치고 있다. 하지만 내년에는 올해보다도 더 많은 아파트가 입주를 시작, 역전세난과 입주대란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부산의 신규분양 시장은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 더 과열되는 양상이다. 정부가 내년 초부터 분양 계약서 작성후 1년이 지나면 분양권 전매를 허용키로 해 가수요가 몰리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3일 부산에서 청약을 마감한 주상복합아파트 포스코건설의 ‘the#센텀스타’에는 총 629가구 모집에 9906명의 청약자가 몰려 평균 15.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주택업계는 이같은 분위기를 틈타 올 연말까지 부산에서 7000여가구의 아파트를 분양할 계획이다.

하지만 청약 경쟁률은 높지만 실제 계약률은 그리 높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가수요를 활용하기 위해 부산지역에 서울 등지로부터 이동식 중개업소인 ‘떴다방’이 상당수 유입되는 등 거품이 형성됐기 때문이다.

한 주택업체 관계자는 “내년에는 서울·수도권보다는 부산 등 지방도시에서 역전세난과 입주대란이 심각해질 것”이라며 “이들 지역에서 분양권 전매를 노리고 신규분양 아파트에 청약하는 것은 위험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시간과 공간사 한광호 대표는 “내년에도 집값은 약세가 유지되고, 서울·수도권보다는 지방이 더욱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렇게 되면 역전세난은 경기불황을 더 타는 지방이 더욱 심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RE멤버스 고종완 대표는 “시장 원리상 공급이 늘어나면 가격은 떨어지게 된다.”면서 “거래세 인상까지 겹쳐 내년에는 매매가와 전세가의 동반 하락이 예상된다.”고 예측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2004-12-06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