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우주인/우득정 논설위원

[씨줄날줄] 우주인/우득정 논설위원

입력 2004-10-19 00:00
업데이트 2004-10-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0대 이상 사람들이라면 1969년 7월20일 흑백 TV를 통해 생중계된 한 장면을 영원히 잊지 못한다. 미국 우주선 아폴로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과 승무원 에드윈 올드린이 이날 밤 10시56분 20초(미국 동부 표준시간) 달표면 ‘고요의 바다’에 첫발을 디디면서 우주원년의 새장을 열었다. 최초의 우주비행사 옛 소련의 가가린이 신화라면 진정한 우주 영웅이 새로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자연에 대한 도전이 인간의 역사라면, 마지막 남은 미지의 공간이 우주다. 미국과 러시아 등 일부 초강대국들이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부으면서 우주를 향한 꿈을 펼치는 것도 인간 한계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는 원초적인 욕망에 근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류가 쏘아올린 우주선이 지금 이 시간에도 화성, 금성, 토성, 목성 등 태양계 주변을 도는 행성의 근접 사진을 시시각각 보내오지만 지적인 갈증을 해소시켜주기는커녕 오히려 자극하기만 한다.

외계인과 인간의 만남을 그린 ‘ET’나 행성 충돌위기로부터 지구를 구하는 ‘아마겟돈’, 행성 충돌로 대재앙을 맞는 ‘딥 임펙트’ 등과 같은 미국 할리우드 영화가 관객을 끌어들이는 것도 따지고 보면 이러한 상상속의 호기심과 무관하지 않다.18세기 스웨덴의 과학자 에마누엘 스웨덴보리가 영적 세계와 우주인을 연계한 궤변을 설파한 뒤 아직도 이를 곧이곧대로 믿는 추종자들이 대를 잇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인간의 삶이 소설가의 영역이라면 밤하늘을 수놓는 무수한 별과 끝모를 우주는 시인과 신의 영역이라고 하는지도 모르겠다.

우리나라에서도 우주 영웅이 탄생할 모양이다.2007년 10월 러시아 우주선 ‘소유스’ 탑승을 목표로 내년 5월 우주인 후보 2명을 선발한다고 한다. 이 사업에 260억원이라는 엄청난 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6개월 동안 4단계에 걸쳐 후보 엄선 작업이 진행된다.200명을 선발하는 1차 인터넷 서류전형에 최종학교 성적표를 첨부토록 한 것이 이채롭다.

지난해 10월 중국 최초의 우주인 양리웨이(楊利偉)의 성공적인 귀환을 부러운 눈으로 지켜봐야 했던 우리로서는 어깨를 곧추세우고 큰 기침할 날이 머잖은 것 같다. 그래서 과학은 위대한 것이다.

우득정 논설위원 djwootk@seoul.co.kr
2004-10-19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