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인력난… 저임금 경쟁력 퇴색”

“中 인력난… 저임금 경쟁력 퇴색”

입력 2004-10-09 00:00
업데이트 2004-10-09 1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풍부한 값싼 노동력이라는 중국 경제의 최대 장점이 빛을 잃어가고 있다.예상보다 빨리 닥친 임금 인상과 인력난으로 중국에 진출한 외국기업들은 물론 중국기업들도 노동력이 풍부한 베트남이나 양쯔강 주변으로 시선을 돌리기 시작했다고 영국의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최근호에서 보도했다.

광둥성 둥관시에서 전선공장을 운영하는 타이완 기업가 웡은 “필요 인력의 절반 정도만 확보해도 다행”이라고 인력난을 털어놓았다.광둥성은 중국 전체 수출의 3분의1을 차지한다.외국기업들이 다수 입주해 있는 둥관시는 광둥성 전체 수출물량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요지이지만 현재 약 27만명의 인력이 부족한 상태다.중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광둥성 전체로는 약 200만명의 일손이 모자란다.

노동력 부족현상은 외국기업들의 생산공장들이 밀집해 있는 광둥성이 가장 심각하지만 연안을 따라 상하이 남쪽의 저장성까지 사정은 비슷하다.푸젠성의 취안저우시도 지난해 20만명의 인력이 부족하다며 대책을 촉구했었다.인력난은 임금인상으로 이어졌고,임금을 둘러싼 노사분규도 급증했다.지난 6일에는 3000명의 공장근로자들이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선전시내에서 가두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약 1억 5000만명의 농촌 유휴인력이 있는 중국이 구인난을 겪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농촌 인구의 도시 유입이 줄고 있기 때문.아직도 거주이전의 자유에 대한 규제가 강해 농촌 출신들에게는 여간해서 도시 거주증이 발급되지 않는다.도시거주증이 없으면 사회보장 및 의료보험 혜택을 받지 못해 정착하지 못하고 귀향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한다.

올들어 농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농가 수입이 늘자 농촌에 주저앉는 사람들도 늘었다고 잡지는 전했다.또 농촌 인구가 광둥성 등 연안지역에 비해 최저임금이 많고 의료보험 등 혜택이 주어지는 내륙의 양쯔양 지역으로 발길을 돌리는 사례도 많다.둥관시에 입주한 공장들은 이제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임금을 올려주거나 생산 자동화율을 높이든가,아니면 이전해야 하는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

김균미기자 kmkim@seoul.co.kr
2004-10-09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