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한·몽골 전략적 동맹이 필요하다/임현진 서울대 사회학 교수

[열린세상] 한·몽골 전략적 동맹이 필요하다/임현진 서울대 사회학 교수

입력 2004-08-21 00:00
업데이트 2004-08-21 0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솔롱고스.한국을 지칭하는 몽골어다.‘무지개의 나라’란 의미를 지닌다.이 말에는 몽골이 한국에 대해 가지는 일종의 고향의식이 실려져 있다.원래 몽골인과 한국인은 동일한 종족으로 지금의 몽골초원과 만주벌판이 만나는 곳에서,먼 옛날 하나는 서남쪽으로 다른 하나는 동남쪽으로 이주했다고 한다.언어와 풍속의 유사성을 말해주는 가설이다.

분명 두 나라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형제의식이 있다.몽골 사람들은 한국 사람들을 각별히 좋아한다.길거리를 지나다 시비가 붙어도 한국인이라 하면 양해가 될 정도다.중국인에 대해서는 냉담하고,일본인은 의심한다.하지만 한국인에 대해서는 호감을 나타낸다.고대 북아시아라는 종족과 문화의 원류가 같아서일까,13∼14세기 몽골의 고려지배로 인한 문화접변의 탓일까,아니면 두 가지 영향의 역사적 축적효과일까.

한국인도 몽골에 대해 친근감을 갖고 있다.여름이 되면 몽골의 각지는 한국인으로 붐빈다.자연 그대로의 풍광 못지않게,역사에 대한 보이지 않는 향수로 인해 몽골을 찾는 것이다.그럼에도 우리에게 몽골은 여전히 가깝지만 먼 나라다.몽골에 대한 이해와 관심 부족 때문이다.

몽골은 한반도보다 7배나 큰 땅덩어리에 인구는 고작 270만명이다.석탄,구리,텅스텐,형석,석유 등 세계 10대 자원부국이다.소련붕괴 이후 사회주의로부터 시장경제와 민주주의로의 체제전환을 시도하고 있다.보통선거를 통해 여야정당이 뒤바뀌고,개혁·개방에 의한 경제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문제는 인력과 자본의 부족이다.몽골이 한국에 거는 기대가 바로 거기에 있다.중국,일본,러시아 등으로부터 직간접 통치와 위협을 받은 몽골은 선진대국들의 몽골진출에 대해 매우 조심스럽다.그러나 한국에 대해서는 사뭇 다르다.형제의식에서 나온 신뢰 때문이다.

얼마전 다시 가본 울란바토르에서 나는 엄청난 활력을 보았다.그것은 비슷한 시기에 평양에서 본 변화 이상의 것이다.정치적 개방과 경제적 개혁 덕택이다.

한·몽수교 15년을 거치면서 두 나라는 과학,기술,경제,무역,에너지,자원,문화 등 여러 면에서 협정을 맺어 왔다.그러나 매우 형식적이다.구체적 진전과 가시적 성과가 없다.몽골 측의 관심에 비해 한국 측의 성의가 모자랐기 때문이다.

한국 외교와 안보의 문제는 강대국 중심 사고에 있다.미국이 아니면,중국,혹은 일본을 등에 업자는 식이다.그러나 개항 전후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 교훈에서 알 수 있듯,강대국 중심 외교안보론은 한국을 식민화로 내몰았다.

작금 동북아지역에서 미국의 군사전략이 일본을 매개로 하여 바뀌고 있는 실정에서 분단 한국의 위상은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한반도 통일을 바라지 않는 중국이나 일본의 입장은 경제와 군사 면에서 강력한 남한을 바라지 않는다.한국의 미래가 밝지 않다는 우울한 전망이다.인접 강국으로부터 하대받지 않기 위해서는 주변으로부터 중심을 보려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이 몽골과 협력하는 길은 여러 방도가 있다.경제적으로 자유무역협정(FTA),공동시장,경제공동체,그리고 정치적으로 국가동맹,국가연합,연방국가 등 다양하다.장기적으로 국가연합과 같은 복합국가적 지향이 가능하나,단기적으로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경제공동체를 고려해 볼 수 있다.그 출발로서 한·몽 사이에 전략적 동맹관계의 구축이 가능하다.만약 한·몽동맹이 이루어진다면,한국은 중국과 일본에 대한 견제 효과와 아울러 장래 APEC에서도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다.이는 단순히 자원획득,농지확보,인구이주 등에서의 실리를 넘는다.정부와 민간 차원의 몽골에 대한 적극적 다가섬이 필요하다.

임현진 서울대 사회학 교수
2004-08-21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