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벌이가 노사분규 악화 원인”

“외벌이가 노사분규 악화 원인”

입력 2004-08-03 00:00
업데이트 2004-08-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진국보다 과도하게 낮은 임금근로자 비율과 외벌이 고용구조가 노사분규의 악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일 내놓은 ‘고용구조로 본 국가별 노사관계 기상도’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취업자(농업 제외) 가운데 임금근로자 비율은 한국이 68.7%로 일본(87.4%),영국(87.8%),독일(89.1%),스웨덴(90%),미국(92.6%)보다 평균 20.7%포인트(최소 18.7,최대 23.9%포인트) 낮았다. 이처럼 자영업주,무급 가족 종사자 등 비임금 근로자 비중이 외국에 비해 현저히 높다 보니,가장인 임금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 요구가 생산성 향상 수준을 넘어서 노사관계 불안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실제로 25∼54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의 경우 한국(58.4%)은 일본(67.3%),미국(각 76.4%),독일(78.3%),스웨덴(85.6%)에 비해 평균 18.4%포인트(최소 8.9,최대 27.2%포인트) 낮아 가계 소득에서 가장인 임금근로자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상의 관계자는 “지나치게 높은 ‘가장’ 근로자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기업이 환경변화에 따라 신축적으로 인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시간제근로,계약직근로,재택근로,파견근로 등의 유연한 고용형태를 활성화하는 한편 직장내 공동육아시설 확충,탁아소 증설 등도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04-08-03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