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해전사/이민웅 지음

임진왜란 해전사/이민웅 지음

입력 2004-07-24 00:00
업데이트 2004-07-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진왜란 때 조·일 양국 해군의 주력 전함이었던 일본의 아다케(安宅船)와 조선의 판옥선.
임진왜란 때 조·일 양국 해군의 주력 전함이었던 일본의 아다케(安宅船)와 조선의 판옥선.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은 어떻게 싸워 이겼을까.’ 이 단순한 질문에 명쾌하게 답할 사람이 몇이나 될까.주변에 이순신과 관련된 사료와 이를 가공한 텍스트가 넘치지만 이순신은 쉽게 읽히고 알려지기를 거부하고 있다.마치 당대의 왜적에게 그가 불가해했듯 우리에게도 여전히 미궁이다.

그는 확실히 전쟁 영웅이다.불퇴전의 기개와 무패의 기록,그러면서도 절대왕권의 위세에 눌려 끝내 좌절하고야 마는 굴곡진 삶의 궤적까지도 영웅적이다.여기에다 백의종군 끝에 지휘권을 되찾아 전선에 복귀하면서 ‘무능한 임금 선조’에게 올린 장계에 남겼으되,‘신에게는 아직도 열두척의 전선이 남아 있습니다.’란 기록은 차라리 비장해 그의 신성성(神聖性)을 확고하게 한 명문이 아닐 수 없다.그러나 냉정하게 돌이키면,찬사와 추앙으로 이어지는 끝모를 이순신의 신격화와 영웅시가 또한 그의 실체를 가리는 차단막이 됐음도 부인할 수 없다.

투철한 군인이자 가솔의 안위를 걱정한 인간이기도 했던 그의 실체를 한 걸음 다가가 보려는 이들에게 현역 해군 소령이자 해군사관학교 전사전략학 교수인 이민웅의 ‘임진왜란 해전사-7년 전쟁,바다에서 거둔 승리의 기록’은 눈여겨 볼 책이다.저자는 주저없이 ‘이순신 신화’의 허구성을 들춘다.“그의 전공이 일제하 민족의식 고취 필요성,박정희 시대의 반공독재 체제 구축 등에 이용되면서 미화와 영웅화,나아가 순국사관으로까지 발전,역사에 대한 바른 이해를 차단하고 있다.”

그는 임진왜란 해전사를 영웅담의 범주에서 역사의 기록으로 자리매기기 위해 당대의 전쟁 조건,즉 직·간접적인 전력을 폭넓게 파악하고 있으며,이를 위해 방대한 주변 사료를 낱낱이 끌어들이고 있다.왕조실록은 물론 난중일기,임진장초,이충무공전서,난중잡록,새미록과 서애집,상촌집,백사집 등 이순신의 기록을 전하는 사료들을 종횡으로 아우르며 신빙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런 방대한 탐구는 우리가 사실로 믿었던 오류의 시정으로 이어진다.마산 앞바다에서 벌어진 것으로 알려진 합포해전의 진상,그리고 명량해전에서 쓰였다는 철쇄(鐵鎖)의 실제 여부를 규명한 것이 그것.실인 즉,마산포를 말하는 합포가 진해만과 잇닿아 있어 논란의 여지가 없지는 않으나,그는 기록과 위치의 적정성으로 미뤄 이곳이 마산이 아닌 진해 연안이라고 주장한다.또 명량해협에 쇠줄을 엮어매 적선을 격침시켰다는 기록도 일본측 학자가 제시한 주장을 생각없이 끌어왔고,이 가설이 영웅담으로 확대재생산되는 과정에서 고착화된 허구라고 단정했다.

조일 양군의 무기와 군선체계,왜성 축조의 배경 등 이미 학계에서 고구(考究)돼 온 문제에 대한 일부 안일한 기술에도 불구하고 그의 저서가 눈길을 끄는 것은 이순신을 신화에서 역사의 영역으로 과감히,그리고 논리적으로 옮겨 앉히고 있다는 점이다.그는 우리 역사상 가장 크고 의미있었던 전쟁을 전쟁사로 정리하는 새 문을 이렇게 열고 있다.청어람미디어 펴냄.1만 8000원.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04-07-24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