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100년 DMZ 51년 생태계-그 빛과 그림자](4) 창공의 자유, 저어새를 찾아서

[창간 100년 DMZ 51년 생태계-그 빛과 그림자](4) 창공의 자유, 저어새를 찾아서

입력 2004-07-15 00:00
업데이트 2004-07-27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란 새는 ‘학섬’에 죄다 모인 것 같았다.섬 동쪽 가장자리를 반쯤은 덮다시피하며 빼곡히 앉아 있다.여럿이 어우러져 춤 추듯 창공을 오르내리기도 한다.군무(群舞)가 가히 장관이다.푸덕이는 날갯짓 소리,쉼없이 지저귀는 소리가 바람결에 실려 뭍으로 전해져 온다.‘뱀섬’엔 뱀은 보이지 않고 새와 새소리만 그득할 뿐이다.

이미지 확대
서해 갯벌과 무인도는 생멸(生滅)의 기로에…
서해 갯벌과 무인도는 생멸(生滅)의 기로에… 서해 갯벌과 무인도는 생멸(生滅)의 기로에 선 저어새의 마지막 안식처다.우리네 인간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이 녀석들은 말없는 물음을 던지고 있다.뒤로 늘어뜨린 댕기와 앞가슴의 오렌지색 깃털은 여름에 생겨나 겨울이면 사라진다.6월2일 강화갯벌이 펼쳐진 석도에서 촬영했다.

강화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유도에 나타난 저어새

학섬이라고도,뱀섬이라고도 불리는 유도(留島)는 경기도 김포와 북한의 개풍군을 양옆에 껴안고 흐르는 한강 하구에 동그마니 떠있다.유도는 이렇듯 새들이 머무르는 쉼터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일 게다.1996년까지 인근 주민에게조차 있는 듯,없는 듯 여겨져 왔지만 그해 여름 세상에 이름을 알렸다.해병대 안내장교는 “폭우에 휩쓸려 떠내려 온 북한 소가 이 섬에 닿아 서너달 꼼짝없이 갇혀 지냈다.결국 우리 군이 ‘유도 상륙’을 북한에 통보한 뒤 구출해냈다.”고 설명한다.김포·강화 북부의 한강은 남북한 어느 쪽도 맘대로 드나들지 못하는,서로의 발이 묶인 곳이다.비록 휴전선은 그어지지 않았지만 삼엄하긴 뭍의 비무장지대(DMZ)와 마찬가지다.

이미지 확대


6월 8일 아침 나절,김포 북부의 해병대 ‘유도소대’ 막사를 돌아 초소 앞으로 다가섰다.꼬불꼬불 길게 이어진 철책선이 발치에 엎드리면서 시원스레 시야가 트이고,한강이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난생 처음 들어보는 새들의 합창에 귀마저 대뜸 열렸다.400m 남짓 떨어진 유도에서 보내오는 소리다.와글와글인지,지절지절인지 걸맞는 의성어가 떠올려지지 않는다.그저 오묘할밖에….초병들의 관측용 대형 망원경을 받아들었다.지천으로 깔린 새들이 비로소 형체를 갖추며 눈에 들어온다.족히 수천마리는 됨직하다.가마우지,백로,왜가리,괭이갈매기….새떼들이 너나 구별없이 한데 모여 섬 한쪽을 차지하고 있다.서울 도심을 벗어난 지 며칠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다들 어느덧 눈에 익숙해진 녀석들이다.몇분이나 지났을까,망원경이 ‘행운’을 포착했다.여느 것들과는 모습이 한결 다른,낯선 녀석이 나타난 것이다.

익살로 감춘 비장미

이미지 확대
저어새와 백로가 사이좋게 걸으며 부지런히…
저어새와 백로가 사이좋게 걸으며 부지런히… 저어새와 백로가 사이좋게 걸으며 부지런히 먹이를 찾고 있다.긴 부리를 가로저으며 먹이를 낚아채 저어새란 이름이 붙었다.6월 8일 김포 월곶면 일대에서 촬영했다.
김포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저어새(천연기념물 제205호)였다.하나,둘,셋… 녀석들은 유유히 섬 주위를 활강하면서,바윗돌 위에 우뚝 선 채로,부리를 맞부딪칠 것처럼 서로를 가까이 한 채,그렇게 10여마리나 발견됐다.‘유도에서 저어새를 볼 수 있다.’는 사전정보를 챙기지 못한 취재팀으로선 전혀 뜻밖의 만남이었다.녀석은 익살스러운 구석이 있다.주걱 모양의 긴 부리 생김새가 그렇고,이름 또한 재미 있다.부리를 좌우로 저어,저어가며 먹이를 잡는 통에 붙여졌다.예전엔 가리새로도 불렸다.조상들 눈에는 주걱부리가 쟁기로 비쳤던 모양이다.

이미지 확대
새매(천연기념물 제323호)는 무엇을 노리는…
새매(천연기념물 제323호)는 무엇을 노리는… 새매(천연기념물 제323호)는 무엇을 노리는 걸까.서해의 무인도,석도에 둥지를 튼 가마우지가 둥지 위를 비행하는 새매를 쳐다보고 있다.
하지만 녀석은 해학으로 비장미를 가렸을 뿐이다.세계를 통틀어 고작 1200여마리 정도만 생존해 있을 뿐이다.나라 안팎의 멸종위기종 조류 목록에 어김없이 이름이 오른 희귀종이다.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을 비롯한 여러 단체들은 “10년 이내에 멸종될 확률이 80% 가량”으로 진단하기도 한다.‘근본적으로’ 위태로운 삶을 부지하고 있는 저어새가 최후의 번식처로 삼은 곳은 강화 남부지역과 석도,볼음도 등 서해바다 무인도와 그 일대에 펼쳐진 강화갯벌(천연기념물 419호)이다.이곳을 삶터로 택한 이유는 뭘까.

“저어새는 20㎝ 정도의 긴 부리를 물속에 집어넣어 좌우로 흔들면서 먹이를 낚아챕니다.그러기 위해선 물 깊이가 비교적 얕은 갯벌이나 강어귀가 적당하지요.광활한 강화갯벌과 서해 무인도(비무장지대 일대)는 그런 점에서 생존환경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무엇보다 개발로 인한 생태계 교란이 상대적으로 덜 진행되었으니까요.”(환경운동연합 김경원 국장)

이를테면 남북간 군사적 대치로 인해 사람의 발길이 끊어진 것이 저어새의 생명을 지탱하고 있다는 말과 크게 다르지 않다.한번 더 뒤집으면,지구상에서 가장 번창한 종(種)인 사람이 저어새를 절박한 처지로 몰아갔다는 얘기다.김 국장의 설명은 이어졌다.“저어새는 아직도 미지(未知)의 대상입니다.몇살까지 사는지,어떻게 번식하는지 생태조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지요.저어새 보호에 대한 인류의 책임은 남북한이 가장 크게 떠안아야 마땅합니다.공동 생태조사 등 남북간 환경협력이 절실합니다.”

이미지 확대
알락꼬리마도요(환경부 보호야생조류)가 경…
알락꼬리마도요(환경부 보호야생조류)가 경… 알락꼬리마도요(환경부 보호야생조류)가 경기도 강화갯벌에서 힘찬 군무를 펼치고 있다.위에서 아래로 낫처럼 휘어진 부리로 게를 주로 잡아 먹는다.

강화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녀석들이 지금처럼 한반도의 외진 구석뿐 아니라 더 넓은 창공을 자유롭게 누비는 날을 고대해 본다.‘시한부 생명’이란 우려를 말끔히 씻어낸 채로….

김포 박은호기자 unopark@seoul.co.kr

전문가 칼럼

생태학적으로 비무장지대의 심벌을 꼽으라면 무엇이라고 할 수 있을까? 능선에는 신갈나무와 소나무요,골짜기에는 버드나무·신나무·오리나무가 어울려 사는 습지라 할 것이다.그리고 이곳저곳에 밀려나지 않고 버티고 있는 아까시나무.이렇듯 비무장지대는 하나의 얼굴로 다가오지 않는다.신갈나무와 소나무는 군사 활동의 결과로 삐뚤빼뚤 왜소한 모습이지만,습지는 기름지고 넓게 자리잡고 있다.일반인들의 접근이 통제된다지만 외래식물인 아까시나무도 왕성하게 자라고 있다.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 돼지풀과 단풍잎돼지풀은 비무장지대 부근에서 전국으로 퍼져 나갔다.이렇게 보면,자연과 인간의 영향력이 극단적으로 교차되는 자리,이것이 비무장지대의 모습이다.

이미지 확대
신준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부장
신준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부장 신준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부장
동물 중에서 가장 흔하게 눈에 띄고 널리 분포하는 것은 고라니다.그런데 고라니가 비무장지대에 이렇게 많다는 것은 숲이 울창해야 할 곳이 훼손되고 풀밭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한편으론 비무장지대와 인접지역의 수계(水系)에는 우리나라 민물고기의 고유종과 희귀종이 많다.이는 그만큼 골짜기를 따라서는 자연성이 크게 살아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따라서 비무장지대는 자연적인 곳만은 아니고 군사활동과 같은 광범위한 인간의 영향 아래 자연의 힘이 살아나는 자리라는 것을 말해준다.

비무장지대는 이 외에도 피난처의 역할도 한다.민통선 이남에서는 잘 볼 수 없는 저어새나 산양도 비무장지대에 오면 제법 볼 수 있다.피난처가 되기 때문이다.산양의 힘차게 뻗은 뿔보다 무서움을 타는 듯한 큰 눈망울이 먼저 보이는 건 이런 까닭일 것이다.

그러면 역사적으로는 비무장지대를 어떻게 봐야 할까?비무장지대는 신화의 시대에는 소통의 자리였고,삼국시대에는 외세를 막아야 할 울타리이면서 동시에 밖으로 뻗어 나가야 할 통로였다.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수도가 바뀌는 축이었으면서도,국가의 중심이 되었던 곳이다.지금은 자연을 지킬 울타리이면서 남북이 소통해야 할 자리이기도 하다.

이런 비무장지대의 모습은 곧 우리가 가야 할 길을 보여주고 있다.훼손이 진행되면서도 자연이 살아나는 자리는,역사적인 흐름과 자연적인 계통을 모르고는 제대로 보존할 수 없다는 사실을 가르쳐 준다.

변화무쌍한 자연 앞에서는 배운다는 자세가 중요하다.역사와 자연 앞에 물어보자.무엇을 지키고 무엇을 막아야 할 것인가?

신준환 박사·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장
2004-07-15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