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 천국] 일본 공포영화 ‘착신아리’

[시네마 천국] 일본 공포영화 ‘착신아리’

입력 2004-07-08 00:00
업데이트 2004-07-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일 개봉하는 일본의 ‘착신 아리’는 평범한 일상에서도 얼마든지 공포를 끌어내는 연출력을 과시할 수 있음을 잘 보여주는 영화 가운데 하나다.

영화는 2002년 개봉한 안병기감독의 ‘폰’과 마찬가지로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휴대전화를 연쇄적 죽음의 도구로 이용한다.물론 소재는 같지만 그것을 사용하는 방식이나 전체 분위기는 다르다.영화가 공포감을 주는 방식은 점층법이다.밝고 가볍게 시작했다가 서서히 무서움의 강도를 높여간다.

미팅에서 파트너들과 전화번호를 교환한 여대생 유미(시바사키 고)와 요코(기시타니 고로)가 화장실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도중 요코 휴대전화에 이상한 메시지가 도착한다.발신자 번호는 요코 자신의 것이고,3일 뒤 날짜로 메시지를 보낸 것.약간 의아하게 여기면서도 대수롭지 않게 넘겼던 이 일은 3일 뒤 “이런 비가 오네.”라는 말에 이은 비명소리 등 메시지 내용대로 요코가 행동한 뒤 전차 선로로 뛰어내려 죽으면서 ‘사건’이 된다.

이어 미팅에 참석했던 남학생 겐지도 같은 방식으로 의문의 죽음을 당하고 ‘죽음의 바이러스’가 죽은 이의 휴대전화 통화 내역에서 다음 ‘먹이’를 찾아 옮겨다니는 것이 알려지면서 두려움이 커진다.영화는 ‘다음 희생자는 누구?’라는 호기심과 함께 그가 죽어가는 과정을 세밀하게 다루면서 공포심을 한껏 키운다.

심지어 유미 룸메이트인 나쓰미는 전원을 끄고 휴대전화 해지 신청을 해도 메시지가 도착한다.사건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는 방송사의 연출로 퇴마사·심리학자 등을 동원하여 죽음의 순간을 생방송하던 나쓰미가 현장에서 즉사하자 나라 전체가 공포에 휩싸인다.이윽고 유미의 휴대전화에도 메시지가 도착하자 그녀는 ‘죽음의 사신’인 최초의 발신자를 찾기 위해 낡은 아파트,폐쇄된 병원 등을 전전한다.그 과정에서 영화는 거울,발톱깎는 장면,알사탕 등의 일상적 풍경이나 소도구로 섬뜩하고 소름끼치는 장면을 이어간다.

‘착신 아리’는 낡은 병원 등 공포물의 단골 공간과 어둠 속에 출몰하는 여자 유령이라는 케케묵은 이야기로 공포심을 캐낸다.미이케 다카시 감독이 등장 인물의 죽음을 예고한 뒤 다양한 장치를 동원하여 옥죄어가는 방식은 섬뜩하다.또 전체적으로 어둠의 이미지와 비명 소리를 적절하게 섞은 것도 참신하다.다만 마지막 반전에서 비약이 심해 약간 어리둥절하게 만드는 것이 흠으로 보인다.

이종수기자 vielee@seoul.co.kr
2004-07-08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