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문화예술지원 ‘르네상스’

기업 문화예술지원 ‘르네상스’

입력 2004-05-12 00:00
업데이트 2004-05-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업들의 문화예술지원(메세나) 활동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특히 메세나 활동의 목적이 종전의 ‘기업 이미지 제고’에서 ‘사회공헌’과 ‘문화계 발전 기여’로 현저하게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세나협의회 국내기업 464개 대상 설문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회장 박성용)가 국내 500대 기업 중 설문에 응한 464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11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들은 지난 한 해 동안 메세나 활동에 총 1517억원을 써 전년(720억원)보다 111%나 증가했다.

응답 기업 가운데 297개 기업이 메세나 활동에 참여했으며 이들 기업의 지원액도 1995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업들이 메세나를 통해 얻으려는 기대효과에 대한 질문에서는 지난해의 경우 대부분 ‘기업 이미지 제고’에 응답해 회사홍보 차원이 절대적으로 많았으나 올해는 이같은 응답이 26%에 그친 반면 ‘사회공헌’‘문화계 발전 기여’에 각각 21%와 15%가 응답해 문화인식이 점차 선진적으로 조정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원액 삼성·LG·SK·금호아시아나 순

그룹별로는 삼성이 993억원을 문화예술에 지원해 여전히 가장 많았고 다음은 LG(112억원),SK,금호아시아나,교보,포스코 순이었다.개별기업별로는 상위 20개 기업의 메세나 비용이 총 727억원으로 전체의 48%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제일모직이 대구 오페라극장 건립에 400억원을 투입하는 등 가장 많았고 SK텔레콤이 65억원,삼성전자가 33억원으로 각각 2,3위를 차지했다.

삼성그룹은 생명,전자,화재해상보험,제일모직 등 4개 계열사가 20위권에 들었다.외국계 기업 가운데서는 르노삼성자동차가 6억여원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필립모리스,코카콜라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룹별 매출액 대비 메세나 비용은 삼성과 금호아시아나가 각각 0.07%,0.05%였으며 포스코,SK,LG도 0.01% 이상 지원한 것으로 조사됐다.개별기업으로는 제일모직 등 4개 기업이 매출액의 1% 이상을 지원했으며 현대백화점,우림건설,한국필립모리스 등 16개 기업이 0.05∼1%를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적은 규모… 세제개선등 다각적 노력 필요

한편 응답 기업 중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 회원사는 115개였으며 이들의 지원액수가 전체의 92%(1398억원)를 차지한 것으로 밝혀졌다.

협의회측은 “기업들의 메세나 비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그 방향도 본래의 문화예술 진흥 차원에 접근하고 있으나 대기업들의 전체 사회공헌활동 액수에 비하면 여전히 턱없이 작은 규모”라며 “세제개선과 혜택 수여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2004-05-12 4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