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관세화 선택… 쌀시장 성공적 방어

日, 관세화 선택… 쌀시장 성공적 방어

입력 2004-05-03 00:00
업데이트 2004-05-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UR 농업협상에서 우리나라와 일본,필리핀 등 3개국은 자국 쌀 산업의 취약성을 이유로 쌀의 관세화를 10년간 유예받았다.타이완도 2002년 WTO에 가입하면서 1년간 관세화를 유예받았다.그러나 일본과 타이완은 각각 1999년과 2002년 쌀 시장을 개방했다.남은 나라는 148개 WTO 회원국 가운데 우리나라와 필리핀뿐이다.

쌀 시장개 방 과정에서 일본은 착실한 준비로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반면 타이완은 얼떨결에 관세화 유예를 선택했다가 자국산 쌀 값이 폭락하는 등 시장이 흔들리는 뼈저린 교훈을 얻어야 했다.

일본이 쌀 시장을 개방한 이유는 크게 두가지다.일본은 4년간의 쌀 풍작으로 97년 말 쌀 재고가 소비량의 40%(390만t)나 됐다.여기에 관세화 유예에 따른 의무도입 물량(소비량의 최고 8%)까지 떠안아 큰 부담이 됐다.

일본은 또 관세화를 선택해도 수입쌀에 상당히 높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어 실제 수입쌀 규모가 적을 것이라는 판단도 했다.관세율은 기준연도(1986∼88년)의 평균 수입쌀과 자국산 쌀 가격의 차이로 결정된다.일본은 기준연도 이전부터 태국에서 헐값의 싸라기 쌀을 수입하고 있었다.때문에 최고 1250%의 관세를 매기는 것이 가능했다.시장개방 2년 전인 97년에 생산자단체인 전국농협중앙회가 먼저 관세화 전환을 요구한 점도 이채롭다.

일본은 쌀시장을 개방한 이후 수입쌀의 규모는 소비량의 3%에도 못미쳤다.오히려 고급 쌀을 개발,2002년에는 538t을 농업강국인 미국과 중국 등에 수출했다.

그러나 타이완은 관세화 유예의 조건으로 연간 소비량의 8%를 의무적으로 도입하고,의무도입량의 35%를 민간에서 들여와 시장에 방출하겠다고 약속했다.WTO에 가입하기 직전의 수입쌀 규모는 연간 7000t에 불과했다.하지만 WTO 가입 이후 관세화 유예 조치로 수입물량은 20배나 많은 14만t이나 됐다.이로 인해 자국산 쌀 가격은 최고 25%나 폭락하는 부작용이 생겼다.미국은 관세화 유예를 연장받으려면 기존 의무도입량에 2%를 더 늘리라고 압박했다.타이완 정부는 쌀값 폭락을 막기 위해 정부수매와 휴경면적 확대 등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역부족이었다.결국 지난해 1월 460%의 관세를 매겨 쌀 시장을 개방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진교 박사는 “쌀 협상이 어떤 방식으로 결론이 나든,추가 개방 폭은 더욱 확대될 수밖에 없다.”면서 “일본과 타이완의 경험에 비추어보면 관세화 유예든,관세화든 사전에 쌀 정책을 정비하고 협상 때 이해득실을 정밀하게 따져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2004-05-03 4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