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로열티적자 ‘눈덩이’

IT 로열티적자 ‘눈덩이’

입력 2004-05-01 00:00
업데이트 2004-05-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출증가와 함께 특허사용료가 눈덩이처럼 늘고 있는 가운데 부담을 줄이기 위한 기업들의 다양한 노력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3월 국제수지 동향’에 따르면 3월 국내 기업들이 외국 기업으로부터 특허권 등 사용료(상표권 등 포함)로 받은 돈은 1억 7230만달러인 반면 외국으로 빠져 나간 특허사용료는 6억 8410만달러로 5억 18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1·4분기에는 4억 4430만달러를 받은 대신 11억 5630만달러를 내줘 7억 1200만달러의 적자를 봤다.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6억 6000만달러에 비해 5200만달러나 늘어난 것이다.

3월의 경상수지 흑자가 9억 7000만달러였으니 특허사용료로만 한달치 흑자의 70% 이상을 까먹은 셈이다.이같은 통계수치는 주요 기업들이 사업보고서 등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특허·기술 사용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특히 ‘수출한국’을 주도하고 있는 전자업체들의 특허사용료가 크게 늘고 있어 원천기술의 취약성을 다시한번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LG전자는 지난해 기술계약실시료로 3603억원을 지출했다.이는 지난해 이 회사가 거둔 순이익 6628억원의 절반을 넘는 것이다.LG전자의 기술계약실시료는 2001년 2210억원,2002년 2393억원에서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최근 일본 후지쓰와 PDP특허를 둘러싸고 소송중인 삼성SDI도 액수가 많지는 않지만 기술사용료가 2002년 134억원에서 215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삼성전자와 함께 세계최대 LCD업체로 자리매김한 LG필립스LCD도 2001년 64억원에 불과했던 기술계약실시료가 2002년 234억원,지난해 389억원으로 늘고 있다.삼성전자의 경우 공식적으로 특허사용료가 확인되지 않지만 수천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미 특허상표국에 출원된 특허만 1313건에 이르지만 주로 규격·공정특허가 많아 특허수입보다 지출이 훨씬 많다.”면서 “반도체,LCD,휴대전화 등 주력 제품이 미국과 일본에서 시작된 만큼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반면 자동차업계는 특허사용료가 많지 않은 데다 줄고 있어 대조를 보였다.

현대차는 2001년 178억원이던 특허사용료가 지난해 125억원으로 줄었다.기아차도 같은 기간 71억원에서 38억원으로 줄었다.

전자업계는 이처럼 늘어나는 특허사용료를 줄이기 위해 기술제휴,크로스 라이선싱,초기 기술 진입 등에 집중하고 있다.

원천기술이 일본에 있는 광스토리지의 경우 LG전자가 이미 99년에 히다치와 합작,HLDS를 설립한데 이어 삼성전자도 최근 도시바와 합작,TSST를 출범시켜 특허료 부담을 덜었다.지난 27일에는 CD,DVD에 이어 차세대 저장장치로 각광받는 블루레이디스크(BD) 레코더를 개발,원천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오히려 특허 수입을 기대하게 됐다.

삼성SDI도 최근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합작사였던 SNMD의 NEC측 지분과 특허를 모두 인수,‘삼성OLED’를 출범시킴으로써 향후 있을지 모를 특허분쟁의 불씨를 없앴다.한은 관계자는 “교역규모가 커지면서 특허사용료 지출도 해마다 늘고 있다.”면서 “특허적자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장은 이를 활용,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길상기자 ukelvin@seoul.co.kr˝
2004-05-01 4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